산업 기업

"中企 4차 산업혁명 준비 미흡…벤처·스타트업으로 대응해야"

세계가 4차 산업혁명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이에 대한 인식이 낮고 준비도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중소기업 전문가들은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길러 대기업으로 성장하는 선순환이 가능하도록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3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중소기업 리더스포럼에서 ‘일자리 창출의 주역 중소기업 -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다’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토론회에서 한국중소기업학회장인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중소기업 혁신 경쟁력 증대방안’ 주제발표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 인식이나 대응이 낮은 현실에서 정부가 대응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해 12월 전국 300개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기업의 0.3%만이 ‘4차 혁명에 철저히 준비·대응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준비를 못 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은 무려 93.7%에 달했다. 이 교수는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기술개발 인력 확보와 연구개발(R&D)을 통해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또 중소기업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고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을 거쳐 대기업으로 커가는 선순환 성장 사다리를 확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관련기사



토론자로 나선 고대진 IBK경제연구소 소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중소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제조업의 스마트화이며, 이를 위해 정부 지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CEO부터 먼저 변화하지 않으면 성장할 수 없다는 적극적인 자세로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문식 한국주유소협회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노동법 제도도 유연하게 변해야 할 시점”이라며 “최근 논쟁이 되는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문제 역시 단기적으로 중소기업 부담을 덜 방안을 고민하고, 장기적으로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제도를 선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성택 중기중앙회장은 “혁신과 일자리 창출의 원천인 중소기업이 활력을 회복할 때 우리 사회에 요구되는 4차 산업혁명 대응이나 포용적 성장이 가능하다”며 “지난 50년간 이어진 대기업 중심의 경직된 경제구조를 바꾸기가 쉽지 않지만, 중소기업계가 힘을 모아 중소기업 중심 경제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영일기자 hanul@sedaily.com

이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