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IT·금융처럼…고공행진 '바통터치' 할 업종은

IT·금융 1년새 2배 이상 올라 부담

신규 투자자들, 새 주도주 찾기 분주

車·음식료·조선·항공 등 바닥 다진듯

하반기 실적 개선 전망, 반등 가능성 높아

11




11


지난해 하반기부터 정보기술(IT)·금융 업종의 강세가 이어지지만 투자자들 입장에서 이들 종목을 선뜻 매수하기에는 고민이 많다. 당분간 상승장을 주도할 것이 유력하다는 평가에도 1년 사이 배 이상 오른 주가는 부담이기 때문이다. 상투를 잡을까 두려워 매수를 고민하는 신규 투자자라면 이미 주가가 급등한 주도 업종보다 실적이 바닥을 다진 후 앞으로 반등할 여력이 있는 뉴페이스 업종으로 눈을 돌리는 것이 낫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IT·금융 업종의 고공행진이 계속되자 가격 부담을 느낀 투자자들이 제2의 IT·금융 업종 찾기에 분주하다. IT와 금융 업종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외국인의 순매수가 집중되며 주가가 상승 곡선을 그려왔다.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가 지수 시가총액의 85%를 차지하는 코스피 전기전자업종지수는 지난해 10월 초 1만1,736.46포인트에서 이달 23일 1만7,397.68포인트로 48.24%나 상승했다. 같은 기간 신한지주(055550)·KB금융(105560)·하나금융·삼성생명(032830)·우리은행(000030) 등 국내 주요 금융사들이 속한 코스피200 금융지수는 673.07포인트에서 837.42포인트로 24.42% 올랐다. 두 업종지수 모두 같은 기간의 코스피 상승률(15.75%)을 크게 웃돈다. IT·금융은 다가올 2·4분기 실적 시즌에서도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상승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되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높아진 가격대가 부담이다. 김영환 KB증권 연구원은 “급등주는 하락할 때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매도 타이밍을 정확하게 잡지 못하면 결국 마이너스 수익률로 파는 경우가 많다”며 “신규로 진입하는 투자자라면 굳이 급등한 업종을 또 살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시장의 주도주 지위를 차지하며 손때가 많이 묻은 종목은 가능하면 피하고 새롭게 주도주가 될 가능성이 높은 종목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말이다.


KB증권은 올 하반기 IT·금융을 뒤이을 업종으로 수출주는 자동차, 내수주는 음식료, 경기 민감주는 조선·기계·항공·해운 산업재를 꼽았다. 이들 업종은 고점 대비 주가가 절반 이상 하락했고 영업이익률은 최근 3~10년 사이 최저 구간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올 하반기부터 실적이 개선되면서 영업이익률도 반등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현대·기아차(000270)는 유럽과 신흥국(중국 제외)에서의 판매 신장이 지역의 판매 부진을 커버하면서 영업이익률이 개선될 것으로 예측된다. 새 정부 출범 후 국내 소비심리가 회복세인 것도 호재다. 음식료는 대선 전 가격 인상분이 하반기 이익 개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기계·조선의 수주가 지난해 1~5월 560만CGT(수정 환산 톤수)에서 올해 같은 기간 650만CGT로 바닥을 찍고 반등하며 최악을 벗어나고 있고 항공·해운은 유가가 하락하면서 영업이익률이 큰 폭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