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커피 닦은 두루마리 휴지가 친환경 종이 배터리로 탈바꿈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슈퍼 커패시터’ 원천기술 확보

셀룰로오스 종이와 커피를 이용한 활성탄소 제조 및 형상.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셀룰로오스 종이와 커피를 이용한 활성탄소 제조 및 형상.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커피를 닦은 두루마리 휴지를 친환경 종이 배터리로 만들어 쓸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울산과학기술원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커피에 적신 휴지를 친환경 종이 배터리 ‘슈퍼 커패시터’로 만드는 원천 기술을 확보했다고 27일 밝혔다.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란 전기에너지를 빠르게 저장하고 공급하는 대용량 배터리를 말하며 현재 스마트폰, 블랙박스, 전기 자동차 등 일상생활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공동 연구팀은 커피 속에 있는 알칼리 금속이온을 활성화 촉매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활성탄소를 생성, 커피에 적신 휴지를 가열해 친환경 종이 배터리 슈퍼 커패시터를 만들어냈다.

그동안 슈퍼 커패시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활성화 물질로 수산화칼륨(KOH)이나 염화아연(ZnCl2)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주로 사용듀ㅙ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었고 부식이 심해 설비 시설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높은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했었다.


새로 개발된 슈퍼 커패시터는 셀룰로오스 종이만을 탄화시켰을 때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유연성(flexible)이 뛰어나다.

관련기사



실험 결과, 커피 처리 없이 종이만 태웠을 때 보다 2배나 높은 정전용량을 보였고 1만 회의 충·방전 후에도 전지용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등 배터리 수명이 더 길어지고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선영 국립산림과학원 목재가공과 연구관은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식물 바이오매스의 35?40%가 셀룰로오스로 구성되어 있고 전극 소재인 셀룰로오스 종이를 얻는데 목재를 이용하면 배터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동 연구를 한 이상영 울산과학기술원 교수는 “커피 종이를 이용한 활성탄소 제조기술은 기존 유해 화학물질을 친환경 물질로 대체하고 제조 공정의 단순화로 경제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종이 슈퍼 커패시터의 구현은 기존 전지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기술은 국내 특허출원을 마쳤고 미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SCI(과학논문인용색인) 국제저널인 ‘ACS(Applied Materials and Interfaces)’지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