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저유가 탓에 커지는 불확실성…BSI 두달 연속 하락세

제조업·비제조업 일제히 하락

국제유가 하락, 부동산 규제 탓

수출 제조기업도 8개월 만에 내림세

제조업 업황BSI 추이. /자료=한국은행제조업 업황BSI 추이. /자료=한국은행




국제유가 하락과 부동산규제 등의 여파로 국내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위축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달 기업경기실사지수가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6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이달 소비심리 지수와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지난 15~22일 전국 2,882개 법인을 상대로 조사한 이달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업황BSI는 각각 78과 75로 지난달보다 4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 업황BSI는 올 들어 4월까지 4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으나 5월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세로 돌아섰다. 비제조업 업황BSI도 올 3월 이후 상승세에서 4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지난 달 유일하게 상승세를 유지했던 수출기업도 3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10월 이후 8개월 만에 내림세도 돌아섰다.

기업들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BSI는 기준선인 100 이하이면 기업들의 부정적인 응답이 긍정적 답변보다 많았다는 뜻이다.


한은은 “제조업은 국제유가 하락 및 조선업 일감부족 등이, 비제조업은 부동산 규제 강화와 유가 하락에 따른 관련 업종 매출감소 우려 등이 업황 악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특히 제조업 분야가 급락한 국제 유가의 영향으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제조업 중 화학제품(-7포인트), 석유정제제품(-11포인트), 조선업(-12포인트) 등에서 하락폭이 컸다. 모두 유가와 업황이 밀접하게 연결된 업종들이다. 이밖에 전자·영상·통신장비도 휴대폰 수출 부진과 액정표시장치(LCD) 수요가 둔화하면서 4포인트 떨어졌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이 6포인트 떨어지면서 5개월 만에 하락했다. 6.19 부동산대책 이후 주택경기 위축 우려가 주요 원인으로 풀이됐다.

다만 한은은 경기 전반이 다시 하락세로 돌아선 건 아니라고 봤다. 최덕재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지금까지 기업 업황이 계속 개선됐던 것을 감안하면 일시적인 조정일 가능성이 높다”며 “계절조정을 거친 BSI는 77로 지난달보다 1포인트밖에 떨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다음 달 업황전망BSI는 제조업이 80, 비제조업이 76으로 지난달 전망지수보다 모두 4포인트씩 내렸다. 이번 달 체감경기가 나빴던 화학, 전자, 건설, 도소매 업종 중심으로 하락 폭이 컸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