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아직도 발품 파니'…‘경기부동산 포털’로 한 방에 해결

경기도, 30일부터 학교·역세권 등 생활정보서비스 제공

앞으로 아파트나 주택 등 부동산 매입할 때 직접 현장에 가보지 않고도 역세권이나 주변 학교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경기도는 인터넷으로 관심 지역 내 학교와 역세권에 대한 기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학교/역세권 생활정보서비스’를 마련, 30일부터 경기도부동산포털(http://gris.gg.go.kr)을 통해 제공한다고 29일 밝혔다.


역세권 정보는 경기 도내 13개 전철 노선의 209개 역사 주변 정보가 제공된다. 역사 주변 주택의 매매, 전·월세 시세는 물론 어떤 연령대가 주로 거주하는지, 의료시설은 어떤지, 생활편의시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을 알 수 있다.

관련기사



학교정보는 경기도교육청 학교알리미 공시자료와 연계돼 제공된다. 도내 4,600여개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학교 현황은 물론 학생 수 같은 기본 정보와 주변 생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대학은 주변 생활정보만 제공된다.

고중국 경기도 토지정보과 공간정보팀장은 “부동산 매입을 위해 소위 발품을 팔아야 한다는 말이 있는데 생활정보서비스를 이용하면 현장을 방문한 것 같은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서 “500m, 1km, 2km 반경내 학교와 역세권 주변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