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난해 국내 자동차 주행거리 전년대비 4.3% 증가

사업용은 줄고 비사업용은 운행거리 늘어나

지난해 우리나라 자동차 총 주행거리가 전년도보다 4.3% 증가한 3,112억㎞에 달했다고 교통안전공단이 2016년도 자동차 주행거리 통계를 통해 29일 밝혔다.

이는 5년 전인 2012년과 비교하면 11.3%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자동차 등록 대수는 2012년 1,866만 2,000대에서 2,146만 4,000대로 15% 증가했고, 유가는 1리터 당 1,896원에서 1,293원으로 32%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세종시가 33.3%로 가장 증가율이 높았고, 서울은 0.7%로 가장 낮았다.

차량 용도별로는 비사업용 자동차 주행거리는 지난해 2,597억km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고, 사업용 자동차는 516억km로 2.3% 감소했다.

차종별 분석에서는 지난해 모든 차종의 자동차 주행거리가 전년과 비교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승용차 5.3%, 승합차 0.2% 화물차 2.1%, 특수차 7.4%)


연료별로 주행거리를 비교하면, LPG 자동차만 10.4% 줄었고 기타 연료(하이브리드, CNG, 전기차 등) 11.8%, 경유 8.6%, 휘발유는 4.5% 순으로 모두 증가했다.

관련기사



경유차는 지난해 전체 주행거리의 48%(1,493억km)를 차지해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고, 최근 5년간 점유율이 연평균 2.5% 높아졌다.

반면, LPG 자동차의 점유율은 연평균 7.9% 감소했다.

지난해 70억km로 전년대비 11.8% 증가한 기타 연료(하이브리드, CNG, 전기차 등)를 사용하는 자동차 주행거리는 최근 5년간 연평균 14.9%씩 증가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33.3%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 조사는 전국 자동차 검사소를 통해 검사받은 자동차의 운행 기록을 통해 산출했다.

공단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6 자동차 주행거리 통계’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기관과 연구원 등에 배부할 계획이다./김천=이현종기자 ldhjj13@sedaily.com

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