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우리 아이 귀에 통증 때는 중이염 조심" 환자 절반이 9세 이하

"귀 구조상 감염균 유입 쉬워"

방치하면 고막 천공·난청 일으켜

"소아일수록 신속한 치료 필요"

한 어린이 환자가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고 있다./이미지투데이한 어린이 환자가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고 있다./이미지투데이


중이염 환자의 절반 이상은 9세 이하 아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이염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고막 천공이나 난청이 생길 수 있어 소아일수록 부모들의 주의가 요망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중이염은 고막과 내이(달팽이관) 사이의 중이강에 생기는 염증이다. 통상 급성으로 발생해 만성으로 진행되기 때문이 신속한 치료를 통해 병의 진행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2일 건강보험공단의 진료 현황 분석에 따르면 2015년 중이염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15만8,000명이었다. 이 가운데 9세 이하 소아·아동은 116만5,000명으로 전체 진료 인원의 54.0%에 달했다. 건강보험을 적용받는 9세 이하 인구는 454만3,000명으로 이 중 4분의 1 이상이 중이염 진료를 한 번 이상 받은 셈이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세가 21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1세 21만명, 3세 18만4,000명, 4세 13만8,000명 등의 순이었다.


9세 이하에서 중이염 환자가 많은 이유는 어른보다 면역력이 약하고 귀 구조상 감염이 잘 일어나기 때문이다. 소아의 귀 내부 구조는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짧은 데다 수평에 가까운 모양이어서 감염균이 중이강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관련기사



전체 환자 중에서 10대 비중은 8.8%였고, 그 외 연령대에서는 환자 비율이 4.7∼7.6% 사이였다.

다만 중이염 환자는 매년 감소 추세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환자 감소율은 2.4%로 조사됐다.

중이염은 코와 귀를 연결하는 이관의 기능장애와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으로 주로 발생한다. 치료하지 않고 내버려두면 고막 천공, 고실 경화, 난청 등이 생길 수 있다. 보기 드물지만 급성 유양돌기염, 안면신경마비, 화농성 미로염, 뇌농양 등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귀에 통증이나 청각장애 증상이 생기면 신속하게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정순구기자 soon9@sedail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