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현대차그룹 상생 '최우수'…외국계 기업은 동반성장 '미흡'

 동반성장위원회 발표

LG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이 중소기업과의 동반 성장에 가장 큰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동반성장지수로 별다른 불이익을 받지 않는 외국계 기업의 동반성장 노력은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2일 동반성장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012년부터 매년 한 차례씩 발표하는 동반성장지수에서 LG그룹과 현대차그룹 내 각각 6개 계열사가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최우수 등급을 받은 기업이 총 25개임을 고려하면 두 그룹이 최우수 등급의 절반가량을 차지한 셈이다.


LG그룹은 3년 연속 국내 대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최우수 등급 계열사를 배출했다. 전자·디스플레이·화학·생활건강·유플러스·이노텍 등 6곳이 최우수 등급에 올랐다. 사내 컨설팅 전문인력 파견을 통한 기술 지원, 현금 결제, 상생협력 펀드 등을 통한 협력사 지원 노력이 높게 평가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현대차그룹의 경우 현대·기아차를 비롯해 모비스·제철·다이모스·오토에버가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유일하게 6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5개 등급 중 가장 낮은 미흡 등급을 받은 기업은 볼보그룹코리아·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코스트코코리아·타타대우상용차·풀무원식품·한국바스프·한국프랜지공업·한솔테크닉스·화신·S&T모티브 10곳이다. 이 가운데 외국계는 볼보그룹코리아·코스트코코리아·타타대우상용차·한국바스프 등 절반에 가까운 4곳이나 됐다. 외국계 기업이 동반성장지수 평가에 따른 제재 등 불이익이 없어 중소기업과 상생 노력에 소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