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난해 건설현장 사망 근로자 184명

전년 대비 20.3% 증가

일부 대형 건설사 산재예방 활동 저조

지난해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숨진 근로자가 184명으로 전년보다 20.3% 증가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0개 건설업체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 수가 184명으로 전년 대비 31명(20.3%) 늘었다고 4일 밝혔다. 사망자를 제외한 재해자 수는 3,837명으로 369명(10.6%)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최근 5년간 평균 환산 재해율은 지난 2012년 0.43%를 기록한 이후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작년에는 0.57%까지 올랐다. 환산 재해율은 사망 사고에 대해서는 일반 재해의 5배 가중치를 부여하고 원청뿐 아니라 하청업체 재해까지 포함해 근로자 100명당 발생하는 재해자 수 비율을 산정한 것이다.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낮을수록 환산 재해율이 높았다. 1군(1∼100위) 기업은 0.34%이었으나 2군(101∼300위) 0.88%, 3군(301∼600위) 1.40%, 4군(601∼1,000위) 1.85%를 하위군으로 내려갈수록 증가했다. 고용부는 환산재해율이 높은 요진건설산업과 극동건설, 동원개발, 서희건설 등 99곳을 대상으로 정기감독을 실시하기로 했다. 그 외 615개사에 대해서는 공공 건설공사 입찰 평가 시 감점 등 불이익을 줄 방침이다.

관련기사



50대 대형 건설업체들을 대상으로 사업주의 안전보건교육 참여 횟수와 안전관리자 정규직 비율 등을 따져 산출한 산업재해예방활동 점수(100점 만점)에서는 호반건설(40점)과 대우건설(50점), 삼성물산(54.5), 현대엔지니어링(54.4점)이 낮은 평가를 받았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5월22일 경기도 남양주 다산신도시 진건지구 공동주택 신축공사장에서 발생한 타워크레인 사고가 발생해 근로자 3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다. 삼성물산은 같은 날 서울지하철 9호선 건설공사장에서 터널굴착장비 전도 사고로 2명이 숨졌다.

고용부는 산재 발생 감소 및 예방을 위해 건설현장에 대한 지도·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두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