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6·19 대책 대출 규제에 아파트 경매 시장도 위축

서울 지난달 낙찰가율 98.1%로

5월 최고치 101.5%보다 떨어져

평균 응찰자수도 10.1명→8.7명



지난 5월 올해 최고 낙찰가율을 기록하는 등 활황을 보였던 서울의 아파트 경매시장이 6월 들어 낙찰가율이 하락하는 등 침체 조짐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6·19대책’으로 서울 등 40개 ‘조정대상지역’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기존보다 10%포인트씩 강화하자 그 여파가 법원 경매시장에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통상 경매시장은 일반 부동산시장의 선행지표로 분석되고 있어 향후 일반 부동산시장도 본격적인 하락 국면에 접어들지에 관심이 쏠린다.

4일 법원경매 전문회사 ‘지지옥션’에 따르면 6월 전국 경매 아파트(주상복합 포함)의 낙찰가율은 92.4%로 집계됐다. 이는 5월 낙찰가율인 94.4%보다 소폭 하락한 수준이다. 특히 서울의 경우 5월 101.5%로 올해 최고 수준의 낙찰가율을 기록했지만 6월 98.1%로 내려앉았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역시 96.8%에서 93.8%로 낙찰가율이 떨어졌다.


입찰 경쟁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8.0명이던 5월의 전국의 평균 응찰자 수는 6월 7.3명으로 줄었고 서울은 10.1명에서 8.7명으로 감소했다.

관련기사



이는 6·19대책의 여파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6월19일 대책 발표 전에는 올해 들어 보인 낙찰가율 상승 기조가 유지됐지만 대책 발표 이후 낙찰가율과 응찰자 수가 감소했다”며 “경매 낙찰자의 경우 일반 매매보다 대출 비중이 높아 LTVㆍDTI 강화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매에서 낙찰받은 물건을 담보로 잔금을 대출받는 ‘경락잔금대출’도 주택담보대출의 일종이다. 이 때문에 이번 대책의 한 축인 LTV 강화의 영향을 피할 수 없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응찰자가 최고가를 제출해 낙찰을 받더라도 법원에서 정식 허가를 받는 과정은 보통 1주일 이상 소요된다. 이에 이달 3일 대출규제 강화가 적용되기 전 관련 절차를 마친 사람이 많은 일반 매매시장과 달리 경매시장에서 더 주춤할 수밖에 없다는 해석도 있다. 이 선임연구원은 “낙찰가가 감정가를 웃도는 등 다소 과열된 5월 시장이 진정되는 국면으로도 볼 수 있다”면서도 “본격적인 하락세로 접어들지 상황을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완기기자 kingear@sedaily.com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