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인간중심의 4차산업혁명을 그리다

박정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어린왕자의 말처럼 가장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산업화 시대 전기가 그랬던 것처럼 이제는 데이터, 소프트웨어(SW)가 그렇다.


‘4차 산업혁명’도 마찬가지다. 누군가는 4차 산업혁명은 실체가 없다고들 한다. 혁명은 시작이지 완성이 아니다. 급변한다는 의미에서 혁명이지만 진행형이며 그 끝도 알 수 없다. 보이지 않는 게 당연하다.

관련기사



4차 산업혁명은 진행 중이라 언제라도 방향을 전환하거나 필요한 가치투여가 가능하다. 문제를 개선해가면서 혁명을 완성할 수 있다는 얘기다. 4차 산업혁명은 기술이 주도하는 혁명이지만 그 지향하는 가치는 사람이어야 한다. 로봇은 힘든 일을 하고 사람은 창의적인 일을 하면서 보다 여유롭고 행복한 삶을 살도록 해야 한다. 유토피아적이다. 로마제국의 성장 과정에서 시민사회를 노예계층이 뒷받침했기에 가능했던 것처럼 말이다. 4차 산업혁명에서 인공지능과 로봇을 지나치리만큼 강조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난 6월 필자는 전문가들과 인공지능에 대응하기 위한 인공지능윤리 가이드라인을 주제로 공론화를 시작했다. 인공지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선제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취지였다.

기술은 인간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는 믿음에서 개발되고 이용됐다. 그러나 인공지능은 내부 알고리즘을 사람이 알 수 없다는 점에서 ‘미지의 기술’이다. 결과물을 보고 추론할 뿐이다. 최근 인공지능이 스스로 자기만의 언어를 만들어낸다는 발표가 있었다. 또 다른 바벨탑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주도권을 인공지능이 쥘 경우 인간은 주체성을 상실할 수도 있어 인공지능에 대해 윤리적 대응이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명암이 교차한다. 인공지능으로 발생하는 법적 책임을 누가 질 것이냐부터 SW나 인공지능으로 인한 일자리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는 세계적인 화두이다. 700만여 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대신 200만여 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한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일자리는 새로운 기회를 줄 것이다. 문제는 역설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오히려 기술혁신이 일자리를 잃게 만들기 때문에 여간 고민스러운 일이 아니다. 이 때문에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즉시 ‘일자리위원회’를 설치했고 8월 중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출범시키기로 했다. 4차 산업혁명으로 경쟁력을 키우며 일자리 문제에 대한 인간적인 배려를 위해서다. 일자리는 성장이고 복지이다. 4차 산업혁명이 무엇인지에 대한 더 이상의 논의는 공허하다. 이제는 실체를 조망해야 한다. 무엇보다 인공지능 기술은 인류를 위협하는 것이 아닌 불평등을 극복하기 위한 도구여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은 기술혁명이지만 사람중심의 문화이자 경제·사회적 현상으로 파생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