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文 대통령, G20 최대 성과는 朴 정권서 무너진 정상외교와 국격 회복

9개 정상 추가 정상회담 요청

박근혜 정부에서 무너진 정상외교 회복

트럼프, 문 대통령에 대한 친밀감 재차 보여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후(현지시간) 독일 함부르크 엘부필하모니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문화공연을 마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반갑게 악수하고 있다./함부르크=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후(현지시간) 독일 함부르크 엘부필하모니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문화공연을 마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반갑게 악수하고 있다./함부르크=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첫 다자외교 등판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물론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도입 문제와 한일 위안부 합의, 중국과 러시아의 미온적인 대북제재 등을 풀어야 하는 숙제를 남겨놓긴 했지만, 무엇보다도 최순실 사태로 무너진 국격을 회복했다는 데엔 이견이 없다.

문 대통령은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에 참석한 정상 중 가장 바쁜 일정을 소화했다. 한국 외교부의 실무적인 노력이 있었겠지만 최순실 정국에서 이른바 ‘촛불혁명’으로 당선된 문 대통령에 대한 관심이 남달라 정상회담 ‘러브콜’이 쇄도했기 때문이다.


G20 참석 전 정상회담이 조율되지 않은 국가 중 긴박하게 문 대통령과의 회동을 요청한 국가와 기구는 9곳에 이르렀다. 이 중 문 대통령은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도날드 투스크 유럽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 중 2명과의 정상회담 일정만 소화했다. 일정 조율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미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4강 정상회담을 마친 문 대통령은 인도, 호주 총리 등 이미 잡힌 정상회담에 이어 추가 정상회담까지 빽빽한 정상회담을 이어나갔다.

관련기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문 대통령에 보여준 호감도 이목을 끌었다. 의장국인 독일로부터 로열석에 배정받아 클래식 콘서트에 입장한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내외와 에마니웰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내외와 함께 공연을 감상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옆에 있는 문 대통령의 손을 잡아 말을 거는 친분을 과시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사이가 좋지 않은 마크롱 대통령을 의식해 신뢰가 쌓인 문 대통령의 손을 잡으며 어색함을 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G20의 최대 성과는 박근혜 정부에서 무너진 정상외교의 복원과 높아진 한국의 국격이라는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인기가 가장 좋았다”며 “촛불혁명으로 당선된 문 대통령에 대한 관심 표명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