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백브리핑]늘어가는 금융권 '복지 준조세'

새희망홀씨 3조원 등 저소득층 지원

은행 수익은 주는 데 부담은 매년 증가

새 정부의 금융 정책이 서민금융 강조에 집중되면서 금융권의 긴장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서민금융 정책이 자칫 준조세 형태로 금융권의 비용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은행권의 경우 서민금융 정책 상품인 새희망홀씨에서 이 같은 비용부담을 떠안고 있다. 새희망홀씨는 지난 2008~2009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은행권은 당기순이익 7조원대의 고실적을 이어가자 수익 일부를 사회에 기여해야 한다는 취지로 2010년 11월 출범했다. 재원은 모두 시중은행이 낸다. 당시 약 1조원이던 규모는 올해 3조원까지 커졌다. 그렇다면 그 사이 은행권 수익도 그만큼 늘었을까. 반대다. 지난해 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은 3조원으로 떨어졌다. 은행 실적이 떨어져도 은행 재원으로 운영하는 서민금융 상품은 확대하는 추세인데 새 정부 들어 이 같은 흐름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은행부터가 반발하고 나설 일이지만 정작 은행은 조용한 것이 금융 산업과 정책당국의 왜곡된 구조를 방증하는 것 같아 더욱 씁쓸하다”며 “금융을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기보다 하나의 산업이라는 균형된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정책이 자칫 금융권의 ‘복지 준조세’를 무차별적으로 부추기는 형태로 변질될 수 있음을 염려한 것이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