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세계유산' 익산 왕궁리 유적 궁궐 담장·후원 전면 개방한다

왕궁리 유적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왕궁리 유적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세계유산인 익산 왕궁리 유적(사적 제408호)의 궁궐 담장과 후원영역이 11일부터 전면 개방된다.

왕궁리 유적은 백제 무왕(재위 600~640년) 때 조성된 궁궐터로 문화재청과 익산시는 왕궁리 유적의 역사적 실체를 밝히고 체계적인 보존관리를 위해 1989년부터 발굴조사를 시행했다. 그동안 궁성과 관련된 성벽, 전각, 정원과 후원, 대형화장실 등이 조사됐고, 그 과정에서 인장 기와, 중국제 자기, 연화문 수막새 등 중요 유물이 다수 출토됐다. 문화재청은 유물 발굴 이후 궁궐과 후원영역의 정비를 완료, 왕궁리 유적 전체를 공개한다.


궁궐 담장은 화강석으로 쌓아 올렸으며, 길이는 동서로 230m, 남북으로 495m로 총 1,454m에 달한다. 발굴조사 결과에 따라 확인된 잔존 높이인 1.2m까지만 담장을 정비했으며, 관람객은 담장과 함께 7개의 문지(門址)와 수구, 암거배수로(暗渠排水路·물을 빼기 위해 지하에 판 고랑) 등도 함께 볼 수 있다.

관련기사



후원은 유적 북동편에 커다란 구릉을 중심으로 형성돼 있다. 구릉의 경사면 아래쪽에는 담장과 인접한 폭 2.7~7.2m, 길이 485m의 대형 수로가 동·북·서쪽에 있으며, 구릉 주변의 길고 짧은 6개의 곡수로와 4개의 집수시설은 효율적인 물의 저장과 배수, 조경 등에 사용됐다.

익산 왕궁리 유적은 2015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후원의 네모난 연못과 구불구불한 물길을 화려한 정원석으로 꾸민 조경 기법은 중국 당나라, 일본 아스카·나라 시대 궁궐의 정원에서도 엿볼 수 있는 양식이다. 이는 당시 백제인들이 중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 문화적으로 활발하게 교류했음을 보여준다.

후원 영역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후원 영역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