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민심이반 가속…벼랑끝 아베 '묘수' 내놓을까

지지율 36%로 재집권 이후 최저

해외일정 단축 조기 귀국 결정

큰 폭 개각 인선작업 예고 속

관방장관·재무상 유임 등 한계

"10년전 조기사임 전철 밟을라"

위기 타개 '깜짝카드'에 촉각

1115A11 아베


콘크리트처럼 굳건했던 일본 아베 신조 내각의 지지율이 지난 2012년 재집권 이후 최저 수준으로 곤두박질치면서 아베 총리의 ‘1강’ 체제가 붕괴되고 있다. 지난 2일 자민당의 도쿄도의회 선거 참패에 이어 연일 추락하는 지지율 추이로 ‘민심 이반’이 뚜렷해진 가운데 아베 총리가 지지율 급락으로 조기 사임했던 10년 전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어떤 수를 내놓을지 일본 정계가 주목하고 있다.

10일 요미우리신문은 7~9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아베 내각의 지지율이 36%로 전월 조사(49%)에 비해 13%포인트나 급락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2012년 12월의 2차 아베 내각 출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보수성향의 ‘친여권’ 매체인 요미우리 조사에서 아베 2차 내각의 지지율이 30%대로 추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아베 내각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41%에서 최고 수준인 52%로 치솟으며 아베 내각의 지지기반이 극도로 취약해졌음을 드러냈다.


아베 내각 지지율은 전날 진보 성향인 아사히신문 조사에서도 2012년 이후 최저치인 33%로 하락했다.

아베 내각에 대한 지지도가 급락한 것은 잇단 스캔들로 총리에 대한 신뢰가 땅에 떨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요미우리 조사에서 내각을 지지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응답자의 49%가 ‘총리를 신뢰할 수 없어서’라고 답했다. 이는 아베 총리와 부인 아키에 여사를 둘러싸고 잇따라 불거진 사학(모리토모·가케학원) 스캔들에 대한 일본 국민들의 의혹이 제대로 해소되지 않은 탓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와 유럽 순방 등을 위해 외유 중인 아베 총리는 하루가 다르게 냉랭해지는 민심을 확인하고 일정을 하루 단축해 조기 귀국하기로 결정했다. 현지 언론들은 그가 서둘러 귀국하는 것은 취임 1년여 만에 지지율 급락으로 사임했던 2007년 1차 내각의 경험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당시 아베 총리는 그해 7월 치러진 참의원선거에서 민주당(현 민진당)에 대거 의석을 내준 후에도 사퇴를 거부했으나 관료들의 망언이 이어지고 지지율이 29%까지 추락하자 떠밀리듯 사임했다. 이는 도쿄도의회 선거 패배와 각료들의 거듭되는 실수, 지지율 추락으로 위기에 몰린 아베 총리의 현재 상황과 오버랩되는 면이 적지 않다.

관련기사



귀국 후 아베 총리는 다음달 초로 예정된 큰 폭의 개각을 위한 인선작업에 몰두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안정성이 중요하다”며 내각의 핵심인 관방장관(스가 요시히데)과 부총리 겸 재무상(아소 다로)을 유임시킬 방침으로 알려진 가운데 8월 개각이 정권 위기국면을 타개할 계기가 될지에 대해서는 정계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정권 기반이 흔들리면서 아베 총리가 공을 들여온 개헌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올가을 임시국회에 자민당 개헌안을 국회에 제출하겠다는 총리의 계획에 반대하는 의견은 48%로 찬성(37%)을 크게 웃돌았다. 아베 총리는 최근에도 “2020년 개정 헌법 시행 목표는 변하지 않았다”며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지만 정권에 등을 돌린 여론의 반대를 무릅쓸 경우 더 큰 역풍이 불가피하다.

한편 이날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정례 브리핑에서 “일희일비해서는 안 되지만 국민의 목소리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겠다”며 지지율 급락에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갈 방침임을 밝혔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