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태국 계란 들어와도 계란값 '요지부동'

30개들이 특란 7,969원…지난달보다 55원 올라

태국산 계란 수입 조치에도 계란값은 좀 처럼 내려가지 않고 있다./연합뉴스태국산 계란 수입 조치에도 계란값은 좀 처럼 내려가지 않고 있다./연합뉴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야기된 ‘계란 파동’을 진정시키기 위해 수입한 태국산 계란을 국내에 유통한 지 1주일가량 지났지만 계란 값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1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10일 현재 계란 평균 소매가(30개들이 특란 기준)는 7,969원으로 지난달보다 55원 올랐다. 지난해(5,380원)보다 2,500원 이상 오른 셈이다.


폭등한 계란 값은 이달 초 태국산 계란이 수입된 뒤에도 꿈쩍하지 않고 있다. AI 피해가 컸던 서울·수도권 지역의 일부 슈퍼마켓에서는 30개들이 계란 한 판이 여전히 1만원 넘는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관련기사



판매용 태국산 계란 초도물량 97만 5,000개는 지난 2~3일 두 차례에 걸쳐 선박 편으로 부산항과 인천항을 통해 반입됐다. 지난달 21일 검역용 샘플 2,160개가 항공편으로 인천공항을 통해 들어온 지 열흘여만이다. 수입가가 국산의 3분의 1 수준으로 알려진 태국산 계란은 주로 소규모 제빵업체나 식당 등에 납품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유통 마진을 포함한 최종 판매가는 30개들이 한 판에 4,500~6,000원 수준인 것으로 추산된다. 일선 소매점에서 한 판에 1만원 안팎까지 치솟은 국산 계란의 절반 수준이다.

정부와 업계 일각에선 태국산 계란 수입으로 치솟은 국내 계란 값이 내릴 것으로 기대했지만, 아직 그런 징조는 보이지 않고 있다. 판매용 태국산 계란이 수입되기 직전 7,965원이던 aT 기준 30개들이 계란 평균 소매가는 수입 직후 소폭 등락했지만, 일주일이 지난 10일 현재 7,969원으로 별다른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하루 평균 국내 계란 소비량이 3,000만~4,000만 개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일주일이 100만 개에도 못 미치는 태국산 계란 수입량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라 계란값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민간업체에서 자율적으로 수입하고 있는 거라 정부가 개입할 여지는 거의 없는 상황”이라며 “태국산 계란 수입이 전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