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국정원 "北 ICBM 대기권 재진입 기술 확보 못해"

적폐청산TF, 댓글사건 등 13건 조사 착수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개회를 기다리고 있다./연합뉴스서훈 국가정보원장이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개회를 기다리고 있다./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은 11일 북한이 지난 4일 발사한 미사일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사거리를 가졌지만 대기권 재진입 기술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잠정 평가했다. 또 내부에 설치한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에서 국정원 댓글 사건 등 총 13건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서훈 국정원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같이 보고했다. 최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화성-14형’은 지난 5월14일 발사한 KN-17을 개량한 것으로 판단했다.


발사 이튿날 대기권 재진입 기술을 확보했다는 북한의 주장에 대해서는 반박했다. 국정원은 “북한은 내열 특성을 확인했다고 주장하는데 아직 재진입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고 시험시설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기술 확보를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또한 풍계리 핵실험장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지시로 언제든 핵실험이 가능하다면서도 현재 임박한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했다.

1215A06 국가정보원 조직개편안


국정원은 적폐청산 TF에서 댓글 사건, 서울시 간첩 증거 조작,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공개, 박원순 서울시장 관련 문건, 비선 보고 등 총 13건의 대상을 선정해 조사에 들어갔다. 서 원장은 조사 대상 및 범위에 대해 “꼭 봐야 하는 사안이 있다면 정권을 가리지 않고 할 용의가 있다”며 “(조사 대상은) 최소한이 될 것이며 내부 분열과 관련된 적폐도 중요한 것이 상당하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내 정치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의미에서 내부 조직에서 ‘국내차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1차장은 해외차장, 2차장은 북한차장, 3차장은 방첩차장으로 명칭을 바꾸기로 했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