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버스 운전기사 10% '낮 졸림증' 시달려

사고 위험률 높이는 '낮 졸림증'…방향 감각·운동 조절 기능 저하시켜

운전기사 수면장애 개선 위해 근무여견 제고해야

휴식 취하는 버스 기사들/연합뉴스휴식 취하는 버스 기사들/연합뉴스


버스 운전기사 10명 중 1명은 ‘낮 졸림증’을 앓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3일 홍승철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경기도 버스 운전기사 304명을 대상으로 수면질환과 관련해 조사를 벌인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전체 운전기사 중 낮 졸림증을 호소하는 사람은 13.2%(4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 졸림’이라고도 불리는 낮 졸림증을 앓으면 잠에 취한 것처럼 완전히 깨어 있기 힘들다. 방향 감각·운동 조절 기능 또한 떨어져 각종 사고 위험률이 심하게 증가한다.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 불면증을 호소하는 운전기사도 40.1%(122명)였다. 이 중 중증도 이상의 불면증을 호소하는 운전기사는 전체 조사 대상자의 10.2%(31명)에 달했다. 버스 운전기사 중 27.6%(84명)는 수면무호흡증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연구진에 따르면 불면증과 수면무호흡증을 가진 사람은 낮 졸림증 발생 위험도가 상당히 증가한다. 실제로 중증도 이상의 불면증을 가진 운전기사는 불면증이 없는 운전기사보다 낮 졸림증 발생 위험도가 6.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면무호흡증을 앓는 버스 운전기사의 경우 낮 졸림증 발생 위험도가 3.9배 높았다.

버스 운전기사 중 68.4%(208명)는 ‘평소 수면의 질이 불량하다고 느낀다’고 답했다. 홍 교수는 “버스 운전기사의 졸음운전을 막기 위해서는 불면증과 수면무호흡증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선별 검사를 시행하고,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운수업 종사자의 교통사고는 자칫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빼앗아 가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 이른 시일 내에 운수업 종사자의 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지원과 제도적 관리를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