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업황 따라 희비 엇갈린 상반기 지방 부동산 시장

조선업 불황에 거제 7.90% 하락

항공산업 기반 진주 6.57% 상승

올 상반기 지방 아파트 시장은 업황에 따른 희비가 뚜렷이 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기반 산업 경기가 활황을 보이면 아파트 가격도 급등했지만, 업황이 좋지 않으면 그 반대의 현상을 보였다.

13일 ‘부동산114’ 등에 따르면 올 1~6월 지방(지방 광역시 제외)의 아파트값은 평균 0.17%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동안의 상승률(2.01%)에 비해 오름폭이 급락한 것이다.

특히 경남 거제는 상반기에 아파트값이 무려 7.90%가 하락했다. 지난해 6.57%가 떨어진 데 이어 2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간 것이다. 조선업의 불황과 대우조선해양 사태가 겹치면서 지역 부동산 시장에 직격탄을 날린 것으로 해석된다. 1~5월 거제의 아파트 거래량(1,164건)도 지난해(1,649건)보다 480건 이상 줄어들었다.


‘조선·중공업의 도시’인 경남 창원의 상황 역시 마찬가지였다. 창원의 상반기 아파트값은 전분기 대비 2.49%가 하락했으며, 거래량도 지난해(3,700건)보다 390건 이상 줄어든 3,305건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반면 경남 진주(6.57%)와 사천(1.40%)에서는 상반기 아파트값이 급상승했다. 이들 지역에 조성되는 항공 국가산업단지의 호재가 작용한 탓으로 풀이된다.

국내 석유 산업의 중심지로 불리는 전남 여수도 5.88% 올랐다. 다만, 여수 엑스포 개최(2012년) 이후 구축된 기반시설과 KTX 개통으로 편리해진 교통망, 복합 관광지 개발 등이 영향을 미쳐 아파트 값을 끌어올렸다는 분석도 있다. 식품전문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선 전북 익산도 상반기 아파트값이 4.63%가 올랐다. 이는 호남권에서 가격 오름폭이 가장 큰 수준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방은 지역 경제 상황에 따라 부동산가격도 큰 변동이 생긴다”며 “향후 항공, 우주산업, 로봇 등 4차산업을 대표하는 첨단 산업의 중심도시들이 인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완기기자 kingear@sedaily.com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