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美, 한미FTA 개정협상 통보]文 대통령의 FTA 3가지 시각

①한미에 ‘호혜적 협정’…무역 불균형 개선중

②미국車 韓 판매 300% ↑

③공동 실태조사 우선시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 요구에 담담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큰일 났다고 야단법석을 떨어서는 안 된다는 모습이다.

무엇보다도 현재의 한미 FTA가 양국 모두에 ‘호혜적’이라는 문 대통령의 시각이 반영돼 있기 때문이다.

①한미 무역 불균형 개선 중=당장 양국 간 무역수지 현황만 봐도 문 대통령의 시각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지난 5월까지 69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쪼그라들었다.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FTA가 발효되기 직전 해인 2011년 116억달러였지만 2015년 258억달러로 정점을 찍은 후 2016년 233억달러로 소폭 줄더니 올 들어 급감하고 있다. 이는 “한미 FTA는 재앙”이라고 밝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자 정부가 대미 무역흑자를 줄이기 위해 공공기관·민간에 에너지 수입 등을 늘리라고 독려한 결과로 풀이된다.


단순히 상품교역수지만을 놓고 볼 게 아니라 전반적인 양국 간 교역의 큰 틀을 보자면 한국과 미국 모두에 윈윈이 되고 있는 상태라는 게 문 대통령과 청와대·정부 관계자들의 시각이다.

관련기사



②대미 자동차 수출 실적 감소세=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문제 삼는 자동차 분야에서도 무역은 균형점을 찾아가는 분위기다. 한미 FTA가 발효된 후 약 5년간 미국산 자동차의 한국 내 판매량은 300% 이상 늘었다. 문 대통령도 13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FTA가 발효된 5년 동안 우리가 미국에 자동차를 수출한 것은 오히려 줄었다”며 “반대로 미국으로부터 한국이 수입한 것은 많이 늘었다”고 지적했다. 반면 한국산 자동차의 대미 수출은 감소세다. 이런 와중에도 국내 자동차 기업들은 앨라배마주 등 미국 현지 공장의 투자를 확충하며 미국 내 고용을 늘리고 있다.

③문 대통령 “담담하게 대응하라”=문 대통령은 개정 협상에 앞서 공동 실태조사를 먼저 하자는 입장이다.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현 단계에서 우리 정부의 입장은 미국의 요청을 담담히 받아들이고 미국 측의 요구가 있으면 테이블에 앉아 논의해보자는 게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다만 USTR가 요구하는 특별공동위의 우리 측 대표가 될 통상교섭본부장이 정부조직법 개정안의 국회 처리 지연으로 임명조차 되지 않고 있는 만큼 아직 공동위를 열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따라서 통상교섭본부장이 임명되고 협의 준비를 마칠 때까지 공동위 회의 시기를 미뤄달라고 미국 측에 요청하겠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