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복지사각 발굴' 지역 넓히는 서울시

'찾동' 강남 뺀 24개구로 확대

市 복지포털서 내집 주소 입력땐

전담 공무원 이름·전화번호 떠

서울시가 복지 사각지대 발굴을 위해 점진적으로 시행한 ‘찾동(찾아가는 동 주민센터)’을 서초·송파·중구 등으로 확대한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 424개 동 가운데 강남구를 제외한 24개 자치구 342개 동에서 ‘찾동’을 시행하는 내용의 ‘찾동 3단계 출범식’을 열었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지난 2014년 2월 국내 복지 사각지대에 경종을 울린 ‘송파 세 모녀 사건’ 이후 복지 서비스가 필요한 주민을 직접 찾아가 발굴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는 ‘찾동’ 서비스를 2015년 7월 시작했다. 신청보다 발굴에 무게중심을 둔 적극 행정인 셈이다.

지난해 2단계 확대 시행을 거쳐 이번에 3단계 시행까지 차츰 적용 지역을 넓혀왔다. 시는 내년부터는 서울 시내 전역에서 ‘찾동’을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면 확대와 함께 시는 다음달부터 시 복지포털에서 내 집 주소만 입력하면 전담 공무원의 이름과 직통 전화번호까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가동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찾동’은 우리동네 주무관, 복지 플래너, 방문 간호사 등과 함께 각 가정·구치소·정신병원·장례식장·치매지원센터 등을 누비며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주민을 찾아내고 있다.

시는 지난 1년간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가정 6만4,000여가구를 찾아내 이 중 생계가 어렵다고 판단되는 가정에 229억원을 지원했다. 특히 고령 어르신 8만1,000여가구를 방문했고 이 가운데 치매 우려 3,000여명, 자살 위험 2,000여명을 찾아내 도왔다.

시 관계자는 “찾동이 이 같은 성과를 낸 데에는 과감한 인력 확충이 힘이 됐다”며 “3년간 복지 인력 2,452명을 확충한 결과 복지 전담 공무원 한 사람이 맡는 대상자가 찾동 시행 전 289명에서 126명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고 설명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찾동은 도움의 손길이 절실한 시민을 먼저 발굴해 지원하는 복지행정을 시스템화한 것”이라며 “서울을 넘어 대한민국 전체로 확산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