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도올 "기업인이 이 시대 君子...시대적 요구 나눔 응답할 때"

도올 김용옥 교수 대한상의 제주포럼서 특강

포드 급여 인상·8시간 근무제 덕

美 사회주의 물결 피해 운명 바꿔

기업, 가치 순환시키는 나눔 통해

사회·인류 위한 대의 실현해야

도올 김용옥 한신대 석좌교수가 대한상공회의소가 20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개최한 제42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기업인의 길, 새로운 한국의 미래’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도올 김용옥 한신대 석좌교수가 대한상공회의소가 20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개최한 제42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기업인의 길, 새로운 한국의 미래’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




“1914년 미국 포드자동차가 노동자의 급여를 5달러로 2배 이상 올리고 8시간 근무제를 도입했습니다. 3년 후 소련에서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났고 사회주의 물결이 전 세계로 퍼져나갔지만 미국으로는 유입되지 않았습니다. 바로 포드의 정책 덕분입니다.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한 회사의 결단이 한 국가의 운명을 바꾼 것입니다.”

철학자인 도올 김용옥 한신대 석좌교수가 기업인들에게 ‘나눔’의 화두를 던졌다. 달라진 사회적 요구에 응답하고 대의를 실현하는 기업인들이 바로 이 시대의 군자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20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42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기업인의 길, 새로운 한국의 미래’라는 주제로 특별강연에 나섰다. 김 교수가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강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두 시간 가까이 이어진 강연에서는 수차례 박수가 터져 나왔다. 김 교수는 ‘봄날은 간다’를 열창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김 교수는 기업인들이 달라진 시대적 요구에 답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그는 “옛날 우리나라에 성씨 마을이 있던 시기에는 문중의 큰집인 종가가 마을의 중심을 잡아줬다”며 “현대사회에서는 직원이라는 거대한 조직을 거느린 기업이 우리 사회의 종가이고 기업을 이끄는 상공인들이 종손”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종손 입장에서 궁극적 가치인 돈이 아니라 사회와 국가, 전 인류를 위한 가치를 생각해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며 “유학에서 말하는 대의를 실현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기업인들이 사회에서 책임 있는 존재로 국민을 이끌어가고 국민과 더불어 살면서 존경받고 책임을 다하는 사람들로 거듭나야 하는 시기”라며 “(포드처럼) 가치를 순환시키는 셰어링(나눔)으로 대의를 실현하자”고 말했다.

김 교수는 자신의 저서 ‘도올의 로마서 강해’를 인용해 예수의 죽음과 부활이 이 시대에 갖는 의미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지금까지 우리를 지배해온 가치관으로부터 해방되는 진정한 죽음이 있어야 달라진 대한민국이라는 부활이 가능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교수는 “과거 기업들이 정부의 일방적 기획을 열심히 따라가기만 하고 돈만 벌면 되던 시대는 지나갔다”며 “스스로 경제 및 문화 개혁을 어떻게 할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설파했다. 김 교수는 “이런 자리를 통해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계속해가자”고 당부했다.

김 교수는 남북 분단의 역사에 대해서도 강연했다. 그는 “남북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면 결국 경제문제도 풀지 못한다”며 “남과 북이 다름을 이해하기 위한 활동이 필요하며 기업인들이 할 수 있는 일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귀포(제주)=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