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브리핑+백브리핑]미국 대학등록금 1.9% 인상…1990년 이후 최저 수준 기록

올해 상반기 미국의 대학 등록금 인상폭이 수십년래 최저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미 노동부 자료를 인용해 올 상반기 현지 대학 및 대학원 등록금이 전년 대비 1.9% 인상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같은 기간 물가상승률(1.6%)과 비슷한 수준으로 지난 1990년부터 지난해까지 대학 등록금이 연평균 6%씩 오르던 데 비하면 현저히 줄어든 것이다. 지난 20여년 동안 등록금 상승률은 물가상승률의 두 배에 달했다.


비싼 등록금은 미국에서 중산층의 근심거리이자 학생들이 빚더미에 허덕이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돼왔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따르면 30세 이하 미국인 중 37%는 등록금 때문에 대학 입학을 포기했으며 대학 진학자 가운데 43%는 비용부담 때문에 공부를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등록금 인상속도 둔화된 배경은

대학 느는데 학생수는 줄어 들어

당국, 대출 상한 옥죄기 여파도


미국의 등록금 인상 속도가 급격하게 둔화한 데는 출산율 감소로 줄어드는 학생 수와 달리 대학 수가 늘어난 것이 주원인으로 풀이된다. 미 교육부에 따르면 2년제와 4년제 대학 수는 1990년부터 2012년까지 33% 늘어 4,726개로 집계됐다. 반면 출산율이 감소하고 베이비붐 세대 자녀들이 대학을 졸업하면서 학생 수는 급감하는 추세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고등학교 졸업생 수는 18% 늘었지만 2010년 이후로는 7년간 증가폭이 2%로 둔화됐으며 그만큼 대학 입학생도 줄어들었다고 WSJ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정부가 2008년 이후 학자금대출 상한선을 추가로 올리지 않은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대출을 옥죄면 집값 상승세가 꺾이는 원리와 비슷하다. 경제학자들은 학자금 대출한도가 늘어날수록 대학이 등록금을 올릴 유인도 커진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따라 수십년간 미국의 가계부채 증가에서 큰 몫을 차지해온 학자금 부담은 당분간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지만 또 다른 변수가 등장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WSJ는 “오는 2023년까지 고교 졸업생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여 현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공급과잉에 따른 대학 폐쇄가 등록금 인상의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