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장에 김지형 전 대법관

약자 편에 선 판결로 '독수리 오형제'로 불리기도

위원 8명중 3명 女…'미래세대 대표' 30대 3명 포함

김지형 전 대법관 /연합뉴스김지형 전 대법관 /연합뉴스


김지형(59) 전 대법관이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에 선정됐다. 김 위원장은 2005~2011년 대법관을 지냈다. 퇴임 후 삼성전자 반도체 질환 조정위원장과 구의역 사고 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그는 노동법과 산업재해 분야에 조예가 깊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대법관 시절 김영란 전 대법관 등과 함께 ‘독수리 오형제’로 불리며 사회적 약자 편에 선 판결을 많이 남겼다는 평도 듣는다.

24일 오후 3시 30분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은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공론화위원회 위원장과 위원 8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공론화 위원은 인문사회·과학기술·조사통계·갈등관리 등 4개 분야에서 각각 2명씩 선정됐다. 원전 이해관계자나 에너지 전문가는 처음부터 후보에서 제외됐다. 인문사회 분야에서는 김정인(39·여) 수원대 법행정학과 조교수와 류방란(58·여) 한국교육개발연구원 부원장이 위원으로 선정됐다.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유태경(38) 경희대 화학공학과 부교수와 이성재(38) 고등과학원 교수가 선정됐다. 이들은 각각 서울대에서 공학박사와 이학박사(물리)를 받았다. 조사통계 분야에서는 김영원(58) 숙명여대 통계학과 교수와 이윤석(48)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가 선정됐다. 갈등관리 분야에서는 김원동(58)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와 이희진(48·여) 한국갈등해결센터 사무총장이 선정됐다. 류방란 한국교육개발연구원 부원장과 이희진 한국갈등해결센터 사무총장을 제외한 나머지 6명은 교수로 일하고 있는 인물들이다.

관련기사



국무조정실은 위원의 남녀 비율을 균형 있게 배치하고, 미래세대를 대표하는 20∼30대를 포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발표된 명단에 따르면 8명의 위원 가운데 3명이 여성이다. 20대는 없고, 30대 후반 3명이 포함됐다.

공론화위원장과 위원들은 이날 오후 4시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위촉장을 받자마자 첫 회의를 열고 석 달 간의 활동을 시작한다. 공론화위는 5·6호기 건설에 관한 공론화 작업의 설계·관리를 맡는다. 공론화위가 선정한 시민배심원단이 공사를 영구 중단할지, 아니면 재개할지는 10월 중순까지 결정하게 된다. 이날부터 90일째 되는 날은 10월21일 토요일이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