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4대강 주변 방치된 '유령공원' 철거한다

국토부, 이용도 적은 시설물 '보전지구'로 전환

방치된 4대강의 한 수변공원/연합뉴스방치된 4대강의 한 수변공원/연합뉴스


정부가 4대강 사업으로 강 주변에 조성한 공원과 운동장 등 시설물 중 이용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시설을 가려 철거할 예정이다.

26일 국토교통부는 4대강 주변에 조성된 297개 ‘친수지구’(66.7㎢) 전체의 이용도를 빅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도가 적은 곳은 자연상태인 ‘보전지구’로 전환할 방침이다. 과거 정부는 4대강 사업으로 강 주변 농경지를 정리하고 공원이나 체육시설 등 357곳의 ‘수변생태공간’을 조성했다. 예산 삭감과 지방자치단체의 무관심으로 시설물이 방치되는 곳이 많아 국토부는 지난해 말 강 주변 지역을 보전지구와 복원지구, 친수지구 등으로 구분해 체계적인 관리에 나섰다. 보전지구는 자연상태로 두는 곳, 복원지구는 불법 농경지 등을 정리하는 곳, 친수지구는 체육시설과 공원 등으로 활용되는 곳이다.


현재 4대강 친수지구에 조성된 친수공원은 181개, 체육공원은 42개, 생태공원은 67개다. 일부 친수지구의 생태공원과 운동장 등 시설물이 이용자가 거의 없어 방치되면서 ‘유령공원’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정부는 흉물이 된 시설물을 철거하는 등 일제 정비에 나섰다. 친수지구 정비 작업에는 통신사 빅데이터 분석 기법이 활용된다. 지난 1년간 친수구역 주변 기지국에 잡힌 휴대전화 이용자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이용자 수와 거주 지역, 연령대 등 다양한 자료를 산출해 이용도를 분석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국토부는 8개월간 조사를 벌인 후 친수구역에서 해제할 곳을 가려내 자연상태로 복원할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4대강 친수구역의 이용도 조사를 통해‘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활발하게 이용되는 곳은 보강하되 이용자가 없는 곳은 정리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