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AIST-서울대, 소형 하이브리드 과학로켓 발사한다

과학로켓 SNUKA-Ⅱ/사진제공=KAIST과학로켓 SNUKA-Ⅱ/사진제공=KA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항공우주공학과 권세진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학교 로켓 동아리 하나로(지도교수 윤영빈)팀과 공동으로 개발한 소형 하이브리드 과학로켓(SNUKA-Ⅱ)을 발사한다.

28일 고흥 항공우주연구원 항공센터에서 오후 5시 20분 발사돼 오후 6시까지 약 40분간 진행된다. 엔진이 10초간 작동한 뒤 20여 초 간 관성 비행을 해 최대 고도 3㎞까지 도달한 뒤 낙하산을 이용해 지상에 착지한다.


이 과학 로켓은 총 길이 3.5m, 직경 0.2m, 무게 58㎏으로 과산화수소를 주 추진체로 사용하는 친환경 과학 로켓이다. 과학 로켓은 최대 2,500 뉴턴(N)의 추력을 낼 수 있는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이 장착됐다. 이 엔진은 ㈜스페이스솔루션에서 개발한 고성능 추진체 밸브가 장착돼 로켓 발사 후에도 지속적으로 전력 공급 없이 엔진 작동이 가능하다. 촉매 반응기를 포함한 모든 부품은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됐고 경량화를 위해 추진제 탱크를 복합 재료로 제작했다. 탄소섬유 튜브를 동체로 활용해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높은 기계적 성능을 확보하도록 설계했다.

관련기사



로켓의 비행 데이터는 모두 지상국으로 전송되고 로켓 내부의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다. 연구팀은 이번 발사를 위해 추진기관 지상연소시험, 낙하산 사출장치 시험, 기체구조해석 등을 수행했다.

개발 과정을 통해 로켓 추진 기관 기술, 대기권 재진입 기술 등 우주 발사체 관련 기반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무중력 실험 공간 확보, 대기 측정, 천체 촬영 등의 임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권세진 교수는 “이번 경험을 토대로 저비용 캔위성(CanSAT)을 우주 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로켓을 구상 중”이라며 “성공적으로 개발한다면 우리나라 위성 및 발사체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세진 KAIST교수/사진제공=KAIST권세진 KAIST교수/사진제공=KAIST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