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개발호재 지역에 자금 대거 유입...부산 해운대구 4.39% 올라 1위

[땅값 상승률 10년래 최고...도시재생發 땅투기 조짐]

상승률 상위 5곳 중 4곳이 부산

서울 2.1% 올라 전국 평균 상회

울산 동구·거제 경기 침체에 하락

땅 거래량 작년 상반기보다 10.4%↑

2815A27 망원2




올해 상반기 전국 땅값이 10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은 저금리 기조 속에 유동자금이 개발호재 지역으로 대거 몰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최대 호재로 꼽히는 ‘도시재생 뉴딜사업’ 예상후보지로 투기자금이 몰리면서 땅값을 올렸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또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이 활황을 보이며 지가 상승을 견인한 측면도 있다.


시·군·구 차원에서 올 상반기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4.39% 상승한 부산 해운대구다. 센텀2지구 등 개발사업 진척과 주거 및 상업용지 투자수요가 지가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부산은 해운대구를 비롯해 수영구(3.39%), 남구(3.20%), 동래구(3.09%) 등 4곳이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을 싹쓸이했다. 부산 이외의 지역에서는 경기 평택시가 3.79%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이 올랐다. 평택은 고덕국제신도시와 미군기지 이전 등 각종 개발호재가 땅값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1.86%, 지방은 1.82% 상승했다. 시도별 상승률을 보면 수도권 중에서는 서울이 2.10% 올라 전국 평균보다 상승률이 높았으며 경기(1.69%)와 인천(1.45%)은 전국 평균에 못 미쳤다. 지방에서는 세종이 3.0%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부산(2.88%), 제주(2.65%), 대구(2.09%), 광주(2.08%), 강원(1.85%) 등도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반면 지역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울산 동구(-1.0%), 경남 거제시(-0.17%)는 땅값이 하락했다.

관련기사



토지거래량도 크게 늘었다. 올 상반기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및 순수토지)거래량은 서울 면적의 1.8배인 총 155만4,000필지(1,095.4㎢)를 기록해 지난해 상반기 대비 10.4% 증가했다. 토지거래량은 지난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세종의 거래량이 56.3%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으며 광주(25.3%)도 거래량이 많았다. 반면 조선경기 침체의 골이 깊어지고 있는 울산은 거래량이 9.6% 감소했고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 이후 중국인 투자수요가 급감한 제주(-9.1%)도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

전문가들은 상반기 땅값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을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 찾고 있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시중 유동자금이 도시재생사업에서 수익이 발생할 것을 노리고 예상 후보지로 유입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문재인 정부는 임기 동안 총 50조원을 투입해 전국 500곳의 노후도심과 주거지를 정비할 방침이며 28일 대상 지역 선정기준과 평가방식을 공개한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개발호재에 대한 기대감이 있었을 것이고 가장 중요한 개발이 바로 ‘도시재생 뉴딜사업’”이라면서 “어느 시기에나 개발호재는 있었던 만큼 2·4분기 토지 가격이 급격하게 오를 이유는 도시재생 외에는 딱히 없다고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펠로인 김승배 피데스개발 대표는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한 재건축 시장의 활황이 땅값 상승에 영향을 미쳤으며 도시재생도 영향을 주고 있다”며 “주택시장뿐 아니라 최근 오피스를 비롯한 상업용 부동산의 거래도 크게 늘면서 전반적인 땅값을 올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고병기·노희영기자 nevermind@sedaily.com

노희영·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