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우리는 군사재판조차 받지 못했다'…제주4·3 증언 자료집 나와

4·3수형피해자 증언자료집 표지 /연합뉴스4·3수형피해자 증언자료집 표지 /연합뉴스


제주4·3 당시 억울하게 형무소에 끌려간 수형 피해자들 중 생존자들의 보고회 증언이 자료집으로 나왔다.

제주4·3도민연대는 지난 3월 28일 열린 4·3역사 증언 및 제주4·3 인천형무소 수형 희생자 실태조사 보고 회의 자료집인 ‘4·3당시 우리는 군사재판조차 받지 못했다’를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4·3 수형 피해자는 국가기록원 수형인명부에 2,530명 등재돼 있다. 이들은 목포·전주·대전·인천·서대문 등 형무소 14곳에 분산돼 수감됐다. 인천형무소 4·3수형인은 14세부터 19세까지 소년 408명이다. 형량은 징역 1년부터 사형까지 선고됐다. 수형 피해자들은 영문도 모른 채 군부대나 경찰관서에 끌려가 투옥됐다. 한국전쟁 발발 직후 상당수가 행방불명됐다.

사태가 진정된 직후 인천 형무소에서 13명이 살아 돌아왔다. 현재는 10명만 생존해 있다. 생존자들마저 억울한 피해에도 불구하고 ‘빨갱이’라는 누명을 쓰고 평생을 살아왔다. 이들의 자녀들은 연좌제 때문에 공무원 임용이 불가능했다.


자료집에는 인천형무소에 수감 됐던 현창용·박동수·양근방·양일화 씨의 증언이 담겼다. 체포경위, 조사상황, 수용장소, 재판 여부, 수감 이후 상황 등 억울한 사연이 수록됐다. 증언은 제주어로 했지만 읽는 이의 이해를 돕기 위해 표준어로 옮겼다.

관련기사



4·3 당시 인천형무소 수형 생존자 및 유족·지인에 대한 설문조사 등도 자료집에 나와있다. 설문조사는 인천형무소 수형 생존자 및 유족·지인 361명을 대상으로 2014년 4∼12월과 2015년 9∼12월 등 2차에 걸쳐 이뤄졌다. 전체 문항에 대해 응답자 전원이 답하지 않고 일부만 답하더라도 결과로 도출했다. 128명은 수감 전 재판 받지 않았다거나 재판 진행 여부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고 답했다. 재판을 받았더라도 2명은 임시 수용소인 주정공장에서, 4명은 제주경찰서 등에서 진행했다고 응답했다. 재판 결과에 대해 수긍할 수 있느냐는 물음에 응답한 64명 중 62명(96.9%)은 수긍할 수 없다고 했다.

4·3도민연대 관계자는 “수형인명부는 4·3당시 군법회의(군사재판)에 의한 결과를 기재한 문서로 알려졌으나 수형인 상당수가 재판조차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정부의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제주4·3은 1947년 3·1절 발포사건 때부터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통행금지령이 해제될 때까지 7년 7개월간 군경의 진압 등 소요사태 와중에 양민들이 희생된 사건이다. 현재 잠정 보고된 것에 따르면 적게는 1만 4,000, 많게는 3만 명이 희생당했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