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국방부 "사드 연내 배치 어려워"…일반환경영향 평가 진행키로

/연합뉴스/연합뉴스


28일 국방부가 발표한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 ‘일반’ 환경영향평가는 ‘소규모’ 환경영향평가와는 기간이나 진행 절차 등의 면에서 차이를 갖는다.

이날 국방부는 “지난 정부가 작년 12월부터 진행해온 소규모 환경영향평가에 대해 환경부와 협의하고 기배치된 장비의 임시 운용을 위한 보안 공사, 이에 필요한 연료 공급, 주둔 장병들을 위한 편의시설 공사를 허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당초 미군 측에 공여하기로 한 전체 부지를 대상으로 하는 일반 환경영향평가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반’과 ‘소규모’ 평가는 전체적인 소요 기간이 다르다. 소규모 평가의 경우 평균 6개월 정도 걸리지만, 일반 평가에는 통상 1년 이상이 필요하다. 환경영향평가법에 따른 진행 절차와 평가 범위 등에서 큰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환경영향평가법 22조를 법적 근거로 삼는 일반 평가는 대규모 개발 사업 등의 입지가 결정된 뒤 환경 영향을 예측하고 저감 방안을 마련하는 기능을 한다. 대상 사업은 총 17개 분야 82개 개발사업이다. 택지개발이나 산업단지, 에너지개발, 항만, 도로 등이 포함된다.반면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는 개발제한구역 5,000㎡ 이상, 국토계획법상 계획관리지역 1만㎡ 이상 등의 사업을 대상으로 한다. 주택, 공장 건설, 국방 등 관련 공사가 해당된다.

관련기사



구체적으로는 환경적으로 민감한 지역이나 난개발 우려 지역에서 시행되는 소규모 개발사업이 주된 대상이다. 일반 환경영향평가보다 범위가 제한적이다. 평가 부문도 소규모 환경평가는 6개 분야 16개 세부 항목이지만 일반 환경영향평가는 6개 분야 21개 세부 항목이다. 살펴봐야 할 항목이 더 많은 것이다.

특히, 일반 환경영향평가는 평가협의회 심의, 평가서 초안 작성·협의, 주민 등 의견 수렴, 평가서 본안 작성·협의 등 총 4개 단계의 협의 절차대로 진행된다. 주민 의견을 수렴할 법적 근거가 없어 평가서 작성 후 사업주체와 환경부간 협의만 거치면 되는 소규모 평가에 비해 시일이 오래 걸린다. 실제로, 일반 환경영향평가의 경우 초안 작성 30일, 본안이 45일(15일 연장 가능) 안에 각각 협의 절차를 끝내도록 규정하고 있다.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는 초안, 본안 구분 없이 총 30일(10일 연장가능) 안에 협의를 마치도록 돼 있다.

최동호 대구지방환경청 기획평가국장은 “소규모와 일반 환경영향평가는 규모 면에서 차이가 크다”며 “주민 의견 수렴 절차 과정이라던가 향후 사후 관리 등에서 일반 평가가 훨씬 복잡하다”고 설명했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