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정부 펀드수수료 개선 요구에...증권가 "펀드시장 고사" 반발

"단기성 펀드 수수료 너무 높다"

금감원 문제제기 나서자

증권사 "침체된 시장 배려없는

일방적 인하 요구" 손사래

금융당국이 펀드 수수료 개선에 나섰지만 증권사 등 판매사의 반발로 난항을 겪고 있다. 증권가는 금융당국이 침체된 공모펀드 시장에 대한 배려 없이 일방적인 인하를 요구한다며 손사래를 치고 있어 당분간 갈등이 이어질 전망이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의 임원들을 소집해 펀드 수수료 체계 개선을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본지 7월11일자 23면 참고


간담회에서 금감원은 목표전환형 펀드나 레버리지·인버스 등 단기성 펀드가 판매 수수료가 높은 A클래스 위주로 판매되는 점을 개선할 것을 요구했다. A클래스는 선취판매수수료를 받는 펀드로, 온라인전용으로 판매되는 E클래스 등에 비해 판매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전체 목표전환형 펀드 100개 중 33개가 올해에 설정되는 등 증권가는 목표전환형 펀드를 앞다퉈 출시하고 있다. 목표전환형 펀드의 경우 특정 수익률에 도달할 경우 청산되는 방식이어서 일반적인 주식형·채권형 펀드에 비해 투자주기가 짧다. 올해 12개가 신규설정된 레버리지·인버스 펀드 역시 지수 상승기나 하락기에 두 배의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지만 손실을 볼 가능성도 높아 대개 단기 투자에 적합한 상품으로 분류된다. 판매사 입장에서는 빠른 시기에 새로운 펀드로의 가입을 유도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수수료를 취득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금감원은 이 같은 단기성 펀드가 대체로 온라인보다는 리테일 위주로 판매되며 높은 수수료를 취득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이 밖에도 금감원은 재간접펀드의 합성 총보수 비용을 판매사가 다시 투자자에게 재공지하며 같은 모펀드에 투자하는 자펀드의 경우 보수를 동일하게 책정하도록 보수를 개선할 것 등을 요구했다.

하지만 판매사는 금감원의 이 같은 요구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증시가 사상최고가를 이어가는 와중에도 최근 3개월(28일 기준) 동안 공모펀드에서만 3조1,820억원이 빠져나가는 등 펀드시장의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업계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다는 주장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펀드 하나를 출시해 100억원을 모으기도 힘든 지금의 상황에서 단기성 펀드는 일종의 돌파구”라며 “출시 클래스까지 제한하는 것은 펀드 산업 자체를 억압하려는 것”이라고 전했다.

/김연하·조양준기자 yeona@sedaily.com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