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산은·수은 경영실적 1년만에 B등급 회복

기업 구조조정 고통분담 높은평가

일자리 창출 등 목표치 초과 달성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추가자금지원에도 불구하고 경영개선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아 지난해 금융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에서 등급이 올랐다.

금융위원회는 앞으로 금융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 기준에 일자리 창출 기여도와 정규직 전환 실적 등을 반영하기로 했다.

0115A08 금융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등급 추이





금융위는 31일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기업은행과 한국거래소·예탁결제원 등 5개 금융 공공기관의 2016년 경영실적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관련기사



평가 결과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평가등급은 C등급에서 B등급으로 전년에 비해 한 단계 상향됐다. 산은과 수은은 2015년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성과가 미흡하다는 이유로 등급이 각각 A등급과 B등급에서 C등급으로 강등됐다가 1년 만에 B등급을 회복했다. 두 곳은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고통을 분담했다는 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금융위 관계자는 “산은과 수은이 건전성 관리와 자금조달, 일자리 창출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고, 대우조선 등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지원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으로 성과급을 반납하는 등 경영효율을 높여 등급이 한 단계 올랐다”고 설명했다.

한국거래소와 예탁결제원은 2014~2015년에 이어 B등급을 유지했다. 기업은행도 3년 연속 A등급을 받았다.

공공기관 경영평가 등급은 S-A-B-C-D-E 등 6단계로 나뉘며 평가에 따라 임직원의 성과급이 차등 지급된다. D·E 등급은 한 푼도 받지 못한다.

금융위는 새 정부 철학에 따라 올해부터 국책은행의 자금공급체계를 일자리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 경영실적평가 기준에 일자리기업지원 실적과 일자리창출기여도 등을 반영할 계획이다. 또 고용관계 개선 실적 등을 평가기준에 포함해 금융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