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서울경제TV] 은행 효자상품 신탁 수수료이익 쏠쏠





[앵커]

은행권에서 신탁 상품이 새로운 수익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올 상반기 기준으로 많게는 작년보다 두 배 넘게 신탁수수료 이익을 벌어들이기도 했습니다. 앵커리포트입니다.

[기자]

시중은행들의 수수료 이익이 늘어난 가운데 신탁상품이 효자 품목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올 상반기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수수료 이익은 총 2조105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 증가했습니다.

은행의 수수료이익은 보통 펀드, 방카슈랑스, 외환 거래, 신탁상품 거래를 통해 얻는데 이 중 특히 신탁 수수료 이익이 급증했습니다.


우리은행의 신탁수수료 수입은 64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두 배 늘었습니다.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도 각각 7,41억원, 1,380억원으로 81%, 47% 증가했고 KEB하나은행도 802억원으로 37% 늘었습니다.

관련기사



저금리와 고령화 시대에 맞춰 자산을 관리해주는 신탁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은행권도 신탁상품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신탁 수수료 이익이 가장 크게 증가한 우리은행의 경우 신탁자산 취급액을 대폭 늘렸습니다. 작년 6월 말 5,250억원이던 신탁 자산 잔액은 주가지수연계신탁(ELT)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올해 6월 말 3조7,750억원으로 600% 넘게 늘어났습니다.

신한은행은 올 상반기 특정 금전신탁과 재산신탁 부문의 수수료가 모두 늘었습니다. 특정 금전신탁은 맞춤형신탁과 동고동락신탁, ELT 모두 판매량이 증가했고 재산신탁 부문은 부동산신탁을 중심으로 판매량이 늘었습니다.

각 은행은 펫신탁부터 유언대용, 치매안심, 성년후견지원 등 다양한 신탁상품도 선보이고 있습니다.

KEB하나은행과 KB국민은행은 작년 치매 판정을 받으면 단계별로 병원비·생활비를 지급하는 ‘치매 안심신탁’을 출시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신한은행은 지난 4월 목표한 수익률을 2년 내 달성하지 못하면 약 0.3%의 수수료를 받지 않는 ‘동고동락 금전신탁’을 내놨습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양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