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조직 추스른 檢 산적한 현안 푼다

오늘 차장·부장검사 인선 마무리

대선 댓글부대·靑캐비닛 사건 등

비리 의혹 동시다발 수사 초읽기

문재인 시대 첫 검찰이 10일 차장·부장검사 등 중간급 간부 인선 작업을 끝으로 진용 꾸리기를 완료한다. 현재 ‘사자방(4대강·자원외교·방산)’ 등 비리 의혹과 관련된 고발 사건이 산재해 있는데다 국정원 ‘댓글 부대’ 사건도 이른 시일 내에 고발, 수사 의뢰될 수 있어 검찰이 전 정권을 겨냥한 대대적 사정에 나설지 주목된다.

9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은 현장 수사를 진두지휘할 차장·부장검사 인선 작업을 10일 마무리할 예정이다. 마지막 인사 과정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자리는 서울중앙지검 2·3차장이다. 이들이 앞으로 윤석열(57·사법연수원 23기) 서울중앙지검장과 호흡을 맞춰 전 정권 사정의 선봉에 설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공안 등 수사부서를 총괄하는 2차장은 국가정보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에서 고발이나 수사를 의뢰할 경우 지난 2012년 대통령선거 당시 ‘댓글 부대’ 사건을 전담하게 된다. 3차장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둘러싼 비자금 조성 의혹 사건은 물론 특수1부에 배당한 면세점 특혜 의혹, 청와대 캐비닛 문건 등의 사건도 진두지휘한다. 이른바 전 정권을 향한 ‘투트랙’ 수사다.


앞서 법조계 안팎에서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재수사 등에 따라 특수부를 중심으로 한 제3기 특별수사본부 구축이 거론됐으나 최근 문무일 검찰총장이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검찰이 직접 수사하는 특별수사에 대해 수사 총량을 줄인다”는 의견을 내비치면서 두 갈래 수사에 나설 수 있다는 데 힘이 실리고 있다.

관련기사



한 법조계 관계자는 “인수인계 등을 고려해도 수사는 늦어도 이달 말부터 시작할 수 있다”며 “검경 수사권 조정 등 수술대에 오르는 검찰에 있어 앞으로 수사가 개혁의 정도를 가늠할 시험대가 될 수 있는 만큼 다양한 측면에서 한층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