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페르세우스 유성우 12·13일 달 뜨기전에 관찰해야

페르세우스 유성우 개념도/그림제공=천문연구원페르세우스 유성우 개념도/그림제공=천문연구원


올해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오는 12일이나 13일 달 뜨기 전 저녁에 관측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됐다.

12일 23시부터 13일 오전 11시 30분까지 가장 많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밝은 달빛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올해에는 지난해보다 관측 가능한 유성 개수가 적고, 달빛이 밝아 화려한 유성우는 아닐 것으로 보인다고 천문연구원이 10일 발표했다.


페르세우스 우성우는 스위프트-터틀(Swift-Tuttle) 혜성에 의해 우주 공간에 흩뿌려진 부스러기들이 지구 대기에 진입하면서 발생한다. 유성우의 복사점이 페르세우스자리 방향에 있어서 그렇게 이름이 지어진 것이며 실제 페르세우스자리의 별들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관련기사



극대 시간에 아주 이상적인 하늘의 조건에서 시간당 100개 가량의 유성을 볼 수 있다고 예측했지만, 달빛 영향 등으로 인해 50~75개 정도 관측될 것으로 예상된다. 때문에 12일 달이 뜨기 전(월출시각 서울 기준 22시 11분)이나 13일 달이 뜨기 전(22시 46분) 관측이 유리하다. 유성들이 대기를 가르고 지나는 평균속도는 초속 59㎞로 예상된다.

관측 장소는 도시의 불빛으로부터 벗어나 깜깜하고 맑은 밤하늘이 있는 곳이 좋으며, 주위에 높은 건물이나 산이 없는 사방이 트여있는 곳으로 가는 것이 좋다. 유성우는 복사점이 있기는 하지만, 복사점만 본다면 많은 수의 유성을 보기 어렵다. 오히려 복사점에서 30도 가량 떨어진 곳이 길게 떨어지는 유성이 관측될 확률이 높다. 일반적으로는 하늘의 중앙, 머리 꼭대기인 천정을 넓은 시야로 바라본다고 생각하면 된다. 고개를 들고 오래 있기가 어려우니 돗자리나 뒤로 많이 젖혀지는 의자를 활용하는 게 좋다고 천문연구원을 밝혔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