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군 내 가혹행위 쏟아지는데…착공 계획도 없는 ‘군옴부즈만’

국방부 인권위 산하‘군옴부즈만’ 발표

의사결정·진행계획 전무…양측 서로 공 넘기기 바빠

국방부 “인권위가 결정할사안”

인권위 “국방부가 책임져야”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이 4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박찬주 제2작전사령관(육군대장) 부인의 공관병 ‘갑질’ 의혹에 대한 중간 감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이 4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박찬주 제2작전사령관(육군대장) 부인의 공관병 ‘갑질’ 의혹에 대한 중간 감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


국방부가 지난달 ‘군인권기획관(군옴부즈맨)’을 인권위 산하에 설치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정작 책임주체나 일정을 정하는 등 제도 마련을 위한 논의는 전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22사단 K일병과 박찬주 육군 제2작전사령관의 공관병 갑질 등 군내 가혹행위가 연이어 드러나는데도 군 당국과 인권위가 제도 마련에 무심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서울경제신문이 국방부와 인권위에 군인권기획관 진행상황을 확인한 결과 양자는 의견 조율을 위한 미팅조차 없었고 책임주체도 명확하지 않아 상대 부처가 직제·인원·향후 방향성 등 제도의 밑그림을 전달해 줄 때까지 기약 없이 기다리고 있었다.


국방부 관계자는 “(군옴부즈맨은) 군을 감독하는 기관인데 국방부가 인원과 규모를 결정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며 “인권위에서 설치하고 운영하는 기구인 만큼 인권위가 주도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이어 “제도의 신설을 적극 지지하고 지원도 할 생각이지만 세부적인 현황이나 규모는 인권위 쪽이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가 지난달 19일 국정운영5개년 과제로 해당 제도를 직접 발표했음에도 행정적 추진 절차는 인권위로 넘긴 것이다.

관련기사



반면 인권위는 “국정과제는 행정부가 시한을 정해서 그 안에 일을 종료하라는 지침인데 행정부 소속기관이 아닌 인권위가 할 수는 없다”며 “국방부가 책임을 지고 국정과제를 수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권위 관계자는 “국정과제를 이행하는 추진 부처는 국방부기 때문에 국방부가 실무책임을 지고, 인권위는 필요한 자료나 의견을 주는 협조기관 정도의 역할을 할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국방부가 옴부즈맨을 부처 내부가 아닌 인권위에 설치한다는 점에서 상호 간 협의가 필요하겠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협의를 시작하거나 일정을 조율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군옴부즈맨제도는 군 외부에서 감독관을 채용해 군대 내의 비위행위를 감시하는 제도로, 독일·캐나다·호주 등 다수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다. 국방부도 지난달 감독기구를 인권위에 설치해 군 인권 증진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사실상 군 감독 권한을 인권위에 이양하겠다는 의미여서 책임주체를 정하는 등 양 측 간 의견 조율이 특히 필요했던 사안이다. 인권위 관계자는 “지난해에도 양자 간 의견 차이가 컸던 만큼 협의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조만간 협의절차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