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난달 여성 취업자 수는 높은데 고용 질은 ‘글쎄’

취업자 증가 폭, 남성보다 높아

女 10명 중 3명은 고용계약기간 1년 미만

文정부 ‘차별없는 여성 일자리’ 공약 주목

여성 직장인/연합뉴스여성 직장인/연합뉴스


지난달 여성 취업자 수가 통계 이래 최대를 기록했지만, 고용의 질은 여전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7월 여성 취업자 수는 1,148만 3,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8만 1,000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성 취업자 수는 지난해보다 13만 1,000명 늘어난 1,543만 3,000명을 기록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크게 나타난 것이다. 여성의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 3월(24만 1,000명)부터 5개월 동안 남성보다 더 컸다. 특히 지난달 여성 취업자 수는 통계청이 남성과 여성을 분리해 통계를 낸 1982년 이래 가장 많다.

여성 취업자의 연령대 비중을 살펴보면 40∼49세(23.8%), 50∼59세(22.7%), 30∼39세(18.8%), 20∼29세(17.2%)와 60세 이상(16.2%) 순으로 많았다. 남성과 여성 전체의 연령대 비중과 비교했을 때 20∼29세와 60세 이상에서 두드러졌다. 20대와 60대 이상에서 남성보다 활발하게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20대와 60대 이외 계층에서 여성 취업자의 비중이 낮은 이유는 이른바 경력단절여성(경단녀) 효과가 남아 있는 탓”이라며 “20대에서 비중이 더 높은 이유는 남성보다 여성의 사회 진입 자체가 빠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여성의 일자리 질이 남성보다 열악하다는 것이다. 지난달 전체 임시근로자(고용계약기간이 1개월 이상 1년 미만)의 수는 509만 6,000명이었다. 이 가운데 남성은 202만 명, 여성은 307만 5,000명으로 여성이 더 많았다. 남녀 각각 전체 근로자 중에서 임시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남성은 13.1%에 불과했지만, 여성은 26.8%에 달했다. 일용근로자(고용계약기간 1개월 미만)와 합치면 남성이 19.6%, 여성이 31.7%가 된다. 여성 10명 중 3명은 안정성이 떨어지는 비정규직과 같은 일자리에서 일하는 셈이다. 한편, 상용근로자(고용계약기간 1년 이상)의 비중은 남성(53.1%)이 여성(45.1%)보다 많았다.

관련기사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부터 ‘차별 없는 여성 일자리’를 공약으로 삼으며 여성 일자리에 신경 써왔다.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뿐 아니라 여성의 경력단절 자체를 막겠다고 약속했다.

‘상시 5명 미만 고용 사업체에 대한 적용제외 규정’을 삭제하는 등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을 모든 사업장에 적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임신, 출산과 관련한 불이익 등 직장 내 성차별에 대한 근로감독 및 차별 시정을 강화하기로 했다.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육아휴직 기간을 계약 기간에 포함하지 않고 자동 연장해 출산휴가급여 지급을 보장받는다. 성별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해 임금 격차 현황보고와 개선계획 수립을 의무화하는 성 평등 임금공시제를 도입하기로 약속했다. 이러한 공약은 실제 정책으로 구체화되고 있어 그 효과가 주목된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