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北, 사이버전에 집중"

의회조사국, 보고서 발표

월스트리트저널(WSJ) 캡처월스트리트저널(WSJ) 캡처


미국 의회는 북한이 제재에 따른 경제 타격을 만회하기 위해 사이버 해킹 공격을 활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의회조사국(CRS)은 10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핵·경제 개발 병진 노선을 유지할 필요성에 따라 김정은 정권은 사이버 프로그램으로부터 더 많은 수입을 얻는 것 같다”면서 “최근 몇 년간 북한은 사이버전에서 경제적 이득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늘어나는 듯 보인다”고 밝혔다. CRS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단지 국제 상거래를 방해하고 교란할 잠재력만 보유한 게 아니라 국제 제재를 피해 (핵)무기와 투발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자원도 획득할 수 있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CRS는 “사이버전은 공격의 책임을 특정인에게 돌릴 수 없으므로 책임을 부인하기가 좋다”면서 “사이버전의 활용은 적을 와해하고자 비대칭 전술을 택한 북한의 국가안보 전략에 딱 들어맞는다”고 지적했다. CRS는 “북한의 사이버 활동은 보복 위험을 줄이고 중국과 같은 전통적인 우군이 북한 정권이 처벌받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게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다만 CRS는 미국 내 전문가들 사이에서 베일에 싸인 북한이 미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의 중요 시설에 대규모 사이버 공격을 할 능력을 보유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이 신종 해킹 수법으로 각국을 공격하고 있다는 관측은 이미 여러 차례 제기된 바 있다. 지난 5월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북한이 신종 해킹수법인 ‘워터링 홀’(watering hole) 방식으로 한국에 해킹 공격을 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WSJ는 지난 2월부터 석 달간 한국 정부 관련 외곽단체의 웹사이트에 해킹 공격이 감지됐으며, 이는 북한의 소행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워터링 홀은 공격 대상이 평소 자주 방문하는 홈페이지에 미리 악성 코드를 심어둔 뒤 당사자가 접속하기를 기다리는 수법이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