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궁금한 이야기Y’ 19년만에 결백 주장 살인사건 범인, 그 이유는?

‘궁금한 이야기Y’ 스웨터공장 살인사건 범인 19년만에 결백 주장 이유는?




11일 방송되는 SBS ‘궁금한 이야기Y’에서는 <‘스웨터 공장 살인 사건’ 범인은 왜 19년 만에 결백을 주장하나?> 편이 전파를 탄다.


▲ 잔혹한 살인사건, 현장이 지목한 범인

‘화성 연쇄살인 사건’의 수사가 미해결로 끝난 지 7년이 흐른 1998년 9월, 경기도 화성의 한 도로변 풀숲에서 40대 여성의 변사체가 발견되었다. 연쇄살인의 마지막 희생자가 유기됐던 장소와 불과 5km 떨어진 지점에서 발견된 시신은 끔찍했던 ‘화성 연쇄살인 사건’을 다시 떠올리게 했다. 피해자는 서울 구로동의 한 스웨터 공장 직원인 정금숙(가명) 씨였고, 부검 결과 둔기로 머리를 수차례 맞아 두개골이 함몰돼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시 시작된 연쇄살인이라면 해결이 쉽지 않을 거라는 우려와는 달리 사건 발생 두 달 만에 범인의 정체가 드러났다. 잔혹한 살인범은 바로 피해자가 일했던 스웨터 공장의 사장 김씨! 피해자 정 여인의 머리를 감싸고 있던 비닐봉지가 공장에서 쓰던 것이었고 시신 옆에는 공장 제품인 스웨터가 발견되기도 했다. 김 씨의 차량에서는 범행도구로 쓰인 쇠망치까지 확인됐다. 모든 증거가 스웨터 공장 사장 김 씨가 범인이라고 지목하고 있었던 것이다.

경찰에 체포된 김 씨는 살인과 시신유기까지 모든 범행을 자백했다. 사건 당일 김 씨는 숨진 정 여인과 밤늦게까지 술을 마셨고, 정 씨가 빌려간 돈 710만원을 두고 공장에서 말다툼을 벌이다가 욱하는 마음에 쇠망치로 머리를 때려 살해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는 잔혹한 살인의 대가로 징역 17년을 선고받았다. 그런데, 긴 수감생활을 마치고, 2년 전 만기 출소한 김 씨가 우리에게 연락을 해 왔다. 그가 꺼낸 말은 놀라웠다. “저는 살인범이 아닙니다.” 19년 전 스스로 범행을 인정했던 그는 왜 지금에 와서 결백을 주장하는 것일까?

▲ 핏빛 흔적은 살인의 증거인가?


당시 살해 현장으로 지목된 지하 스웨터공장 내부와 김 씨의 차량에서 누구의 것인지 확인할 수 없는 몇 점의 혈흔이 발견됐고 이는 김 씨가 범인이라는 증거가 됐다. 그러나 김 씨는, 당시 경찰의 강압적인 수사와 형량을 줄여주겠다는 회유에 어쩔 수 없이 허위 자백을 할 수 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 경찰이 공장에서 정 여인의 핏자국이 발견됐고 시신의 머리를 감쌌던 비닐봉지에서 김 씨의 지문도 나왔다며 거짓 증거로 자신을 몰아붙였다는 것이다. 심지어 당시 살인의 도구로 지목됐던 김 씨 소유의 쇠망치에서는 혈흔 반응조차 나오지 않았다는데... 정말 그의 주장대로 김 씨는 누군가의 올가미에 걸려든 억울한 피해자인 걸까?

관련기사



당시 시신유기현장사진과 부검기록을 검토한 법의학자들은 몇 가지 의문점을 제기했다. 쇠망치로 피해자의 머리를 수차례 가격했다면 당연하게도 살인의 현장에는 다량의 피가 튀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당시 공장 내부에서 발견된 몇 점의 혈흔이 살인의 흔적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소량이라는 것이다. 실제 시신유기현장에서는 다량의 피가 흐른 흔적이 확인됐다. 만약 김 씨가 공장에서 살인을 저지른 후 서둘러 핏자국을 지웠다 하더라도 완벽하게 흔적을 제거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는데...

우리는 서울대학교 법의학교실과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의 자문을 받아 피해자를 쇠망치로 가격하는 순간 어느 정도의 핏자국이 발생하는지, 그 리고 범행도구와 현장에 묻은 혈흔을 과연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지 실험을 통해 직접 확인해보기로 했다. 과연 19년 전 공장에서 발견된 핏빛 흔적은 살인의 증거일까?

이번 주 SBS ‘궁금한 이야기 Y’에서는 19년 만에 자신은 살인범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김 씨의 주장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을 통해 검증해 보고자 한다.

[사진=SBS 제공]

/서경스타 전종선기자 jjs7377@sedaily.com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