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문병도의 톡톡 생활과학] 여름철 피부의 적, 자외선 막으려면?

자외선에 화상을 입으면, 허물이 벗겨지고 보기 흉해진다.자외선에 화상을 입으면, 허물이 벗겨지고 보기 흉해진다.


여름 휴가철 무심코 물놀이나 야외 활동을 하다가 아차 하는 순간 피부가 익어 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화상을 입어 욱신거리는 피부로 밤새 잠을 설치게 되는 것을 물론, 며칠 뒤 허물이 벗겨져 흉해지거나 새까맣게 타버린 피부 때문에 마음고생을 하게 된다. 실컷 놀 때는 좋았는데, 심하게 손상된 피부를 보면 후회가 밀려온다. 자외선 차단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벌어지는 일이다. 여름이 되면 햇빛에서 방출되는 자외선도 세지지만 옷차림이 점차 얇아져 자외선을 무방비 상태로 받아들이게 되므로 반드시 이를 차단해야 한다. 뜨거운 여름철 햇빛을 막기 위해 몸에 바르는 자외선 차단제. 자외선 차단제는 어떤 원리로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는 것일까.

현대인들이 피부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피부 관리가 여성의 전유물이었지만 지금은 남녀노소 모두 탱탱하고 탄력 있는 얼굴을 가지려고 다양한 피부 관리 비법을 활용하고 있다. 피부관리는 바로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강력한 자외선을 막기 위해 바르는 자외선 차단제, 일명 ‘썬크림’으로 불리는 화장품은 현대인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생활필수품이다. 특히 여름철 휴가계획을 세우고 있는 사람이라면 자외선 차단제를 가장 먼저 챙기는 게 중요하다.

피부 역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가 나타난다. 피부 주름은 노화된 피부의 흔한 증상이다. 피부 노화는 크게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로 나눌 수있다. 내인성 노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적인 노화 현상이며, 외인성 노화는 자외선, 담배 연기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자외선에 의한 광 노화(Photo Aging)가 대표적이다.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주름 생성, 탄력 저하, 색소 침착, 활성산소에 의한 DNA 손상이 초래되고 이러한 자극이 반복되면서 염증 반응이 증가하여 콜라겐의 분해도 증가한다. 이와 더불어 진피층에서 그물망 구조를 갖고 있는 엘라스틴 단백질의 감소로 탄력이 떨어지게 된다.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는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전에 이를 예방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자외선C는 대기중 오존층에 흡수돼 안전하지만, 자외선A와 자외선B는 지표면에 닿아 피부에 영향을 준다. 자외선A가 미차는 영향이 가장 강력하다.자외선C는 대기중 오존층에 흡수돼 안전하지만, 자외선A와 자외선B는 지표면에 닿아 피부에 영향을 준다. 자외선A가 미차는 영향이 가장 강력하다.


자외선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자. 자외선이란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광선의 한 종류다.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A(320~400 nm), B(290~320 nm), C(200~290 nm)로 분류된다. 자외선 C는 파장이 가장 짧아 에너지가 크고 생물에 가장 심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지구를 둘러싼 오존층에 의해 완전히 흡수돼 다행히 지표면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문제는 자외선A와 자외선B다. 이 중 자외선B 는 단시간에 피부 표피와 진피 상부에 침투해 피부 홍반과 화끈거림, 물집 등을 유발한다. 하지만 자외선A에 비하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약하다. 피부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자외선A다. 피부의 진피까지 깊숙이 파고드는 자외선 A는 멜라닌 색소를 변화시켜 피부를 검게 만들 뿐 아니라 피부의 엘라스틴 조직을 느슨하게 해 피부 탄력을 저하하고 거친 피부 결과 주름, 처짐 등의 피부 노화를 유발한다. 뿐만 아니라 심각한 경우에는 DNA 면역체계 손상을 가져와 피부암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기상청에서는 자외선 B의 양을 기준으로 한 ‘자외선 지수’을 매시간 측정하고 이에 따른 주의사항을 발표한다. 자외선 지수란 태양의 높이가 최대일 때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 B의 양을 수치로 환산한 것이다. 자외선 지수에 따라서 자외선 양을 낮음(1-2), 보통(3-5), 높음(6-7), 매우 높음(8-10), 위험(11 이상)의 5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기상청 홈페이지 생활기상지수 코너에서 오전 5시부터 오후 8시까지 매시간 측정되는 자외선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낮 12시부터 오후 3시 사이가 하루 중 최고 강도의 자외선이 집중되니 이 시간대에 제대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부 트러블 등을 고려해서 내게 맞는 자외선 차단제를 선택해야 한다.피부 트러블 등을 고려해서 내게 맞는 자외선 차단제를 선택해야 한다.


자외선을 차단하는 방법은 흡수하는 방법과 반사하는 방법 크게 두 가지다. 어떤 방식으로 자외선을 차단할 것이냐에 따라 함유되는 성분 역시 달라진다.

자외선흡수제 성분은 벤조페논유도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유도체(PABA), 살리실산유도체 등으로 이들은 자외선을 흡수한다. 이들 성분은 입자가 고우므로 피부에 잘 스며들어 착용감이 좋을 뿐 아니라 자외선 흡수 및 차단 효과가 뛰어나다. 하지만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도 적지는 않아 민감한 피부라면 피하는 게 좋다. 반면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미세입자의 무기물은 자외선을 반사시킨다. . 이들 성분은 입자가 굵어 잘 흡수되지 않고 피부 표면에 남아 자외선을 반사 시킨다. 반사 역할을 하므로 피부에 안정적이고 자극 유발이 매우 적다. 하지만 많은 양을 바를 경우 하얗게 일어나는 백탁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당량을 바르는 게 중요하다. 차단지수가 높은 것을 원한다면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 제품을, 피부 안정을 원한다면 자외선산란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자외선 차단제는 가벼운 아외  활동의 경우에는 낮은 SPF수치 제품을 사용하고, 자외선이 강할수록 높은 수치의 제품을 사용하면 된다.자외선 차단제는 가벼운 아외 활동의 경우에는 낮은 SPF수치 제품을 사용하고, 자외선이 강할수록 높은 수치의 제품을 사용하면 된다.


자외선 차단 종류와 함께 숙지해야 할 한가지가 자외선 차단지수(SPF)가 있다. SPF(Sun Protection Factors)는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했을 때의 최소 홍반을 일으키는 최소 자외선 량(홍반량)을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최소 홍반량으로 나눈 수치다. 자외선양이 1일 때 SPF15 차단제를 바르면 피부에 닿는 자외선의 양이 15분의 1로 줄어든다는 의미다. 따라서 SPF는 숫자가 높을수록 차단 기능이 강한 것이다. SPF 수치가 낮을수록 가벼운 야외활동과 어울리며 이 수치가 높을수록 자외선이 강한 지역에 사용된다.


PA지수는 protection grade of UVA의 약자로 자외선 A의 차단 정도를 나타내는 등급이다. PA지수는 +의 개수로 표기되는데, +의 개수가 많을수록 차단 효과가 높아진다. 자외선차단지수(SPF)가 높은 제품이 자외선 A의 차단효과가 높은 것이 아아니므로PA지수도 꼭 고려하여 자외선 차단제를 구매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기사



자외선 차단제는 정확한 방법으로 충분한 양을 바르지 않으면 그 효과를 충분히 볼 수 없다. 햇빛에 노출되기 최소 20~30분 전에 미리 충분한 양(2㎎/㎠ 이상)을 골고루 펴 발라야 한다. 만약 바르는 양이 이것보다 적다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많이 감소한다. 또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땀이나 피지에 의해 자외선 차단제가 지워지고 자외선 차단제의 효과도 떨어지므로 야외활동이 많다면 2~3시간마다 반복해서 자외선차단제를 덧바르는 것이 좋다. 수영장이나 바다에 가는 경우 물에 잘 지워지지 않는 형태의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적절한 자외선 차단 지수를 살펴보자면 일상 생활에서는 SPF 10~20/PA+,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는 SPF 30 이상/PA++~+++, 자외선이 매우 강한 지역에서 활동하거나 자외선에 과민증이 있는 경우에는 SPF 50+/PA+++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아직은 뜨거운 태양이 내리쬐는 시기다. 여름의 햇빛은 1년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자외선을 동반하는 만큼 자외선 차단을 철저히 함으로써 피부 건강을 지키는 것은 어떨까.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