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명성황후 평상복 차림 추정 초상화 공개

다보성갤러리, 특별전서 전시

출처 미공개에 학계 진위 의혹도

명성황후 초상화로 추정되는 작품 /사진제공=다보성갤러리명성황후 초상화로 추정되는 작품 /사진제공=다보성갤러리


광복절을 앞두고 명성황후(1851~1895)를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초상화가 나왔다.

서울 종로구 다보성갤러리는 14일 대한제국 선포 120주년·광복 72주년을 맞아 개막한 특별전에서 평상복 차림의 ‘전(傳) 명성황후 초상’을 공개했다.

이번에 최초 공개된 ‘전 명성황후 초상’은 두건을 쓰고 하얀 평상복을 입은 여성이 손을 모은 채 의자에 앉은 모습으로 족자 뒷면에는 ‘부인초상’이란 글이 세로로 적혀 있다. 김종춘 다보성갤러리 관장은 이 초상에 대해 “운현궁에서 출토돼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돌아왔다”고 주장했다.


김 관장은 이 초상에 대해 △명성황후 살해범으로 알려진 미우라 고로(三浦 梧樓)의 글씨 작품과 한 세트로 전해지는 점 △족자 뒷면의 부인이란 글자 위에 ‘閔氏(민씨)’로 추정되는 글씨가 지워졌다는 점 △평상복이었지만 모란문, 부평초 꼴의 무늬가 평민 계층에서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 △신이 고급 가죽신인 점 △이승만 대통령의 독립정신에 실린 추정사진과 한미사진미술관 소장의 추정사진 못지않은 분위기가 엿보인다는 점에서 명성황후의 초상화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초상화의 진위 여부에 대한 의혹이 제기됐다. 먼저 불투명한 수집경위에 대해 지적하자 김 관장은 “제공자가 이름을 밝히지 않기를 부탁했다”고 출처를 밝히기를 거부했다. 족자 뒷면 지워진 ‘閔氏’에 대해서도 다보성갤러리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적외선 촬영을 받았다고 주장했으나 국립현대미술관 측에서 “미술관에서는 적외선 촬영을 한 적 없다”고 즉각 반박했다. 이에 김 관장은 “이오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를 통해 비공식적으로 사진을 찍었다”며 “어디서 찍든 무슨 상관인가”라고 답했다. 뒤늦게 참석한 의친왕의 차남 이우의 부인인 박찬주 여사의 고종사촌 동생인 박보림씨 역시 초상화 속 여인이 쓰고 있는 족자에 대해 “그 당시 궁에서 이 족자를 썼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이어 “(초상화의) 진위여부에 대해 명성황후를 만나본 적 없는 만큼 확신하지는 못한다”고 밝혔다.

다보성갤러리는 ‘전 명성황후 초상’ 외에도 이준, 윤봉길의사의 휘호, 친일파 이완용, 송병준의 휘호 등 총 300여점의 작품을 공개했다. 전시는 8월31일까지.

명성황후 초상 뒤 훼손된 ‘민씨(閔氏)’를 적외선으로 촬영한 사진/사진제공=다보성갤러리명성황후 초상 뒤 훼손된 ‘민씨(閔氏)’를 적외선으로 촬영한 사진/사진제공=다보성갤러리


명성황후 초상 뒤 ‘민씨’를 훼손한 부분/사진제공=다보성갤러리명성황후 초상 뒤 ‘민씨’를 훼손한 부분/사진제공=다보성갤러리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