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생산적금융 시동]정책자금, 혁신산업 윤활유 역할 더 키운다

정책금융, 대기업·전통산업에서 혁신 신산업 지원 강화

4차 산업혁명 맞아 일자리 창출 효과 큰 분야 집중 지원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생산적 금융을 위한 정책금융기관 자금지원 강화 태스크포스’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금융위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생산적 금융을 위한 정책금융기관 자금지원 강화 태스크포스’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금융위


혁신적인 산업에 정책자금을 집중 투입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생산적 금융’ 정책이 닻을 올렸다. 생산적금융은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현 정부의 일자리 중심 경제정책을 돕기 위해 내놓은 정책이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용범 부위원장 주재로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과 연구원 및 학계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생산적 금융을 위한 정책금융기관 자금지원 강화 테스크포스(TF) 첫 회의를 열었다.


TF는 앞으로 두 달간 진행된다. 9월에는 △4차 산업혁명 지원 프로그램 △금융권 일자리 창출방안(정규직화 등) 등이 논의되고 10월은 △혁신 창업·중소기업 지원프로그램 △기술금융 및 동산담보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해 11월까지 생산적금융의 밑그림을 완성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지난달 취임한 최종구 위원장이 강조한 ’생산적 금융‘은 금융기관들이 상대적으로 손쉽게 수익을 올리는 가계대출 위주 사업모델에서 벗어나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창출 등 생산적인 분야로 자금을 투입하는 개념이다.

이날 TF 단장을 맡은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은 “정책금융기관이 생산적 금융을 위한 첨병 역할을 해야 한다”며 “대기업, 전통산업 지원에서 벗어나 4차 산업혁명 등 신성장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책금융이 리스크 분담 등을 통해 마중물 역할을 적극 수행해 민간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며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분야에 자금공급이 집중될 수 있도록 일자리 지원 효과를 측정하고 이에 맞춰 성과평가(KPI) 등 인센티브 체계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산업은행은 4차 산업혁명 선도 금융기관‘으로 신산업 육성, 사업재편, 인수합병(M&A), 재도전 분야 등에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기업은행은 창업 보육·인큐베이팅, 혁신 유발형 대출기관으로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영세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및 협력업체 지원을 위한 상생협력 프로그램 운영도 확대한다. 수출입은행은 중소기업 수출지원 선도기관으로 수출과 실물경제를 견인하고 신용보증기금은 민간 금융기관이 중소기업에 자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시장형 보증기관‘의 역할을 키울 예정이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