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토부, '신분당선 노인요금 징수' 관련 2차 간담회 개최

"재정 여건 어려워 불가피" vs "경영 자구책 우선"

민자 철도 부과액 '900원' 만 징수하는 절충안도

경영난이 가중되는 수도권 지하철 신분당선에서 노인에게 운임을 방안을 둘러싼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연합뉴스경영난이 가중되는 수도권 지하철 신분당선에서 노인에게 운임을 방안을 둘러싼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연합뉴스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는 수도권 지하철 신분당선에서 노인에게 운임을 받는 방안을 두고 관계기관과 당사자들이 간담회를 열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18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성남시청에서 ‘신분당선(강남∼정자) 무임수송 유료화 관련 2차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신분당선 운영사인 네오트랜스(주)와 국토부, 경기도, 성남시, 서울시 등 관계기관과 노인단체 관계자, 대학교수 등이 참석해 신분당선 노인요금 문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노인 요금 징수를 두고 지난달 28일에도 국토부와 네오트랜스 측은 1차 간담회를 열고 각계의 의견을 들은 바 있다. 네오트랜스 측은 “재정 여건이 어려워 운임 개선 대책이 필요하다”며 노인 운임 징수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적자 누적으로 2014년 이후 자본잠식 상태가 지속하는 상황에서 돌파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누적 저자도 4,000억 원 규모인 것으로 전해졌다.


노인 단체 대표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경영 자구책이 우선돼야지 노인요금으로 문제를 풀려 해선 안 된다”며 “경영 자구책이 우선돼야지 노인요금으로 문제를 풀려 해선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기사



당시 간담회에서는 ‘900원 인상안’이라는 절충안도 나왔다. 민자 철도인 신분당선에 특수하게 부과된 별도운임인 900원을 노인이 부담하자는 것이다. 서울 등 다른 도시철도에도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이기도 하다.

국토부는 이날 2차 간담회에서도 이러한 절충안을 포함한 노인 요금 징수를 놓고 본격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1차 간담회에서 각자의 입장 차이도 있었지만, 어느 정도 상대방의 상황을 이해하는 기반도 마련됐다”며 “2차 간담회에서 상생하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이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