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이달초 시료 확보하고도 늑장 조사...에그포비아 키웠다

[살충제 계란 파문]

정부·지자체 안일·부실 대응

살충제 계란 그대로 시중 유통

동물권단체 ‘케어’ 회원들이 18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살충제 계란에 대한 근본적 대책을 요구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동물권단체 ‘케어’ 회원들이 18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살충제 계란에 대한 근본적 대책을 요구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식품안전관리에 대한 부실대응 시스템이 또다시 드러나면서 정부의 책임론이 확산되고 있다. 살충제 계란 여부를 사전에 파악하고도 선제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시중에 살충제 계란이 유통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지난 8월1일과 2일 기준치 이상의 비펜트린이 검출된 두 농가의 시료를 확보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지방자체단체와 중앙정부의 협력체계가 부실한 탓에 시료 조사가 늦어졌고 결과적으로 16일 넘게 문제의 농가가 생산한 ‘살충제 계란’이 시중에 유통돼 에그 포비아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지 못했다.

관련기사



18일 농림축산식품부가 제공한 산란계 농가에 대한 살충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울산 보건환경연구원은 1일과 2일 울산의 미림농장과 한국농장에서 생산된 계란의 시료를 채취했다. 농식품부가 출입기자들에게 처음으로 국내에서도 ‘살충제 계란’이 검출됐다고 보도자료를 보낸 것은 14일 오후11시43분. 국민들에게 대대적으로 알려진 것은 15일이었다. 문제의 두 농가가 농식품부의 ‘부적합’ 농가로 이름을 올린 것은 시간이 한참 지난 17일이었다. 결과적으로 시료 채취 후 보름 동안이나 결과를 내놓지 않아 시중으로 흘러들어가도록 방치한 셈이다.



허태웅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이에 대해 “당초 미생물 검사와 항생물질 검사를 위해 시료를 채취한 것”이라며 “시료 채취 당시는 국내에 ‘살충제 계란’ 이슈가 확산되지 않은데다 사태가 발생하고 즉각 농약 검사로 전환했다”고 해명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울산 보건환경연구원은 1~2일 시료를 채취했고 3~7일에는 미생물 검사를 진행했다. 8일에는 항생물질 검사 준비를 하다가 9일 식용란 농약 잔류물질 검사가 강화돼 10일에서야 농약 검사를 시작했고 검사 결과를 16일에 통보했다는 것이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그동안 시료 검사시간이 4~5시간 정도라 3일 내에 전국 1,239개의 산란계 농가 전수조사가 가능하다고 한 농식품부의 설명과는 맥락이 다른 대목이다.

15일 이전에 시료가 채취된 곳은 또 있다. 9일 경기도 남양주시의 마리농장이다. 이곳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살충제 계란’이 검출된 농가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해당 농가의 시료를 채취했는데 여기서도 늦장 대응해 소비자 피해를 키운 셈이다. 농관원의 한 관계자는 “규정상 시료를 채취하고 1주일 안에만 조사 결과를 내면 된다”며 “여러 건의 물량이 들어와 살충제 조사가 다소 늦어졌고 14일 농식품부에 보고했다”고 말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