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R&D 투자도 곤두박질

한국 50대기업 평균 R&D비용

5.1억달러로 일본 3분의1 수준

현대자동차는 올 상반기 연구개발(R&D) 비용을 지난해 대비 10% 이상 삭감했다. 현대차가 상반기 R&D 비용을 줄인 것은 지난 2011년 이후 6년 만이다. 중국과 미국 판매가 급감하면서 허리띠를 졸라맨 것이다. 반면 일본 업체들은 미래차 패권 장악을 위해 R&D 비용을 크게 늘리고 있다. 도요타는 올해 총 1조5,000억엔(약 15조원)으로 1.2%, 혼다는 9.4%, 닛산은 7% 확대 집행한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R&D 비용 축소는 마치 실탄 없이 미래 전쟁터로 향하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국내 제조업체들이 불황에 빠지면서 R&D 비용을 크게 줄이고 있다. 눈앞의 단기 성과에 집착하는 기업 문화가 가장 큰 이유다. 호황이 오기만을 기다리지 말고 불황일수록 장기적 안목에서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각국 50대 기업의 매출 대비 R&D 투자 비율을 분석한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50대 기업 평균 R&D 비용(2015년 기준)은 5억1,910만달러로 미국(39억3,520만달러)의 8분의1, 일본(16억1,760만달러)의 3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호황인 반도체를 제외하면 국내 대부분의 제조업종은 R&D 비용을 줄였다. 혹독한 구조조정을 하고 있는 조선 3사의 상반기 R&D 비용은 1,065억원으로 지난해(3,559억원)의 3분의1에 불과했다. 수주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매출이 줄고 자연스레 R&D 비용도 축소한 것이다. 그나마 R&D 비용을 늘린 철강과 정유업종도 매출액 대비 투자금액 비율은 0.7%에 불과하다. 정유화학업체도 사정은 비슷하다. 이태규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제2 반도체 등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산업 기반을 마련하려면 획기적인 R&D 진작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