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한미약품, R&D에 대한 신뢰 회복 전망-미래에셋대우

28일 미래에셋대우는 보고서에서 한미약품(128940)에 대해 “얀센의 임상 재개로 랩스커버리의 생산 이슈는 해결됐으며, 같은 플랫폼기술이 적용된 사노피의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임상3상도 4분기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며 “사노피의 임상3상 시작과 내년 추가적인 R&D 성과 발생으로 잃었던 R&D에 대한 신뢰는 완전히 회복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51만원을 유지했다.


김태희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제공하는 ClinicalTrials.gov에 따르면 얀센은 한미약품으로부터 도입한 당뇨·비만치료제 HM12525A의 임상1상을 재개했다”며 “HM12525A는 2015년 11월 얀센에게 약 1조원 규모로 기술수출된 물질이며 2016년 11월 생산 이슈로 임상1상이 중단됐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상시험의 세부 사항 중 변경된 부분을 살펴보면, 기존 독일에서 진행되던 임상이 이제 미국에서 진행될 것이며 Cohort가 4개 그룹에서 5개 그룹으로 세분화됐고 모집 환자 수가 늘었고, 모집 환자의 조건이 추가됐다”며 “당뇨에 대한 보다 명확한 효능 입증 및 비만에 대한 효과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번 임상1상은 내년 1월에 완료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기타 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 김 연구원은 “HM12525A 외 다른 파이프라인도 순항 중이며 특히 내년 상반기 다양한 이벤트가 기대되는 상황”이라며 “스펙트럼이 개발 중인 지속형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Rolontis는 2018년 1분기 임상 3상 중간결과 발표와 2분기 ASCO 학회 참가가 예정되어 있고, 릴리가 임상 중인 BTK 저해제 HM71224는 18년 2분기 임상2상 중간결과 발표가 있을 예정이며, 제넨텍이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는 RAF 저해제 HM95573은 내년 상반기 임상1상이 완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