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첨단 쇼핑 구축 … 이마트, 삼성전자 손잡고 ‘미래형 마트’ 선뵌다



이마트가 삼성전자와 손잡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첨단 쇼핑 시스템을 도입한다.

이마트는 28일 삼성전자 사옥에서 삼성전자와 ‘디지털 사이니지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미래형 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고 이날 밝혔다.

‘디지털 사이니지’란 TV, LED 등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옥내외 광고다. 관제센터에서 통신망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광고판으로 디지털 형식이기 때문에 광고 교체 주기를 언제든 조절할 수 있다. 사진 형태 뿐만이 아니라 영상과 소리까지도 내보낼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이마트는 삼성전자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 하드웨어 시스템인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를 공급받게 된다. 또 유통과 정보통신(IT)이 결합한 ‘쇼핑 패턴 분석 기술’ 등을 공동 개발해 보다 정교화된 미래형 유통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다.

관련기사



우선 경기도 용인시 죽전점을 디지털 사이니지 시범점포로 지정한다. 오는 10월 죽전점 내부의 광고판 가운데 80% 가량을 디지털 사이니지로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죽전점 시범사업을 거친 후 내년 총 200억원 가량을 투자해 디지털 사이니지 점포를 30여 개점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기존에 사람이 손으로 직접 천정에 매달아 설치했던 매장 내 행사 안내물, 현수막, 계산대 윗 공간 광고판 등이 이제는 중앙 제어가 가능한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로 바뀌게 된다.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바뀐 광고판에는 이마트 행사상품 안내, 실시간 쇼핑 정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광고 콘텐츠도 노출해 소비자들에게 유용한 상품 정보로 제공할 방침이다.

‘쇼핑의 과학화’도 이뤄진다. 이마트는 오는 10월 삼성전자와 함께 ‘쇼핑 패턴 분석 기술’을 개발해 도입하기로 했다. ‘힛트맵’으로 불리는 고객 동선 분석 기술을 통해 누가 어떤 물건을 어디에서 구입하는지, 어느 매대에서 얼마나 오래 머무는지, 어느 경로로 움직이는지 등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마트는 이 정보를 향후 매장 진열 기법과 상품 배치, 재고 관리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남윤우 이마트 개발본부장은 “이마트는 상품혁신뿐만이 아니라 인프라 확충에도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삼성전자와 파트너를 이루는 등 디지털 사이니지 인프라가 미래형 마트에 중요한 한 축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