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노인이 아이들보다 많은 대한민국

[비상등 켜진 나라곳간 노인 개념 바꾸자]

통계청, 2016년 인구주택총조사

65세 이상 677만5,000명으로

15세 미만 676만8,000명 첫 추월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가 15세 미만 인구를 사상 처음 추월하면서 ‘노인이 아이들보다 많은 나라’가 현실이 됐다.

통계청은 3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677만5,000명으로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676만8,000명)를 넘어섰다. 지난 2015년만 해도 유소년은 690만6,000명으로 노인 656만9,000명보다 약 40만명 많았다. 하지만 1년 사이 유소년은 14만명(-2.0%)이 줄고 노인은 21만명(3.1%)이 늘면서 역전됐다.


노인과 아이들 인구의 역전은 당초 예상보다도 빠르다. 통계청은 지난해 12월 장래인구추계에서 2017년에야 노인이 유소년을 추월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의료기술의 발전 등으로 85세 이상 어르신들도 빠르게 늘고 있다. 85세 이상 인구는 2015년 52만3,000명에서 지난해 56만명으로 7.0% 늘었다. 100세 이상 어르신도 10.4%나 증가했다. 65세 이상 인구 증가율 3.1%보다 크게 높은 수치다.

한편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 수는 전년보다 20만명 늘어난 5,127만명으로 집계됐다. 증가율 0.4%는 역대 가장 낮은 수치다. 어르신들의 평균 수명이 길어졌지만 저출산 속도가 워낙 빨라 인구 증가율이 ‘0’에 가까워지고 있다. 통계청은 인구 성장이 멈추는 시점을 6년 뒤인 오는 2023년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우리나라 주택은 1,669만채로 전년보다 33만채(2.0%) 늘었다. 특히 아파트는 1,003만채로 사상 처음 1,000만채를 돌파했다.

/세종=서민준기자 morandol@sedaily.com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