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기아차 통상임금 1심 패소] 법원 "실적 나쁘지 않다"지만...'세계10위 완성차' 지위 추락 우려

사드에 中 상반기 판매 급감

통상임금 리스크까지 겹쳐

수익악화로 올 적자전환 예상



통상임금 소송에서 법원이 결국 노동조합의 손을 들어주면서 기아자동차는 사면초가 상황에 빠졌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구축 여파로 상반기 중국 내 판매량이 반토막 난 가운데 당장 4,000억원 이상의 돌발성 부담이 생기면서 당장 올해 적자전환이 불가피하게 됐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난국을 타개할 뾰족한 수가 안 보인다는 점이다. 연간 생산량 250만대, 세계 10위의 완성차 업체 지위가 크게 추락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법원은 신의성실의 원칙이 인정되지 않는 이유로 “기아차의 재정 및 경영 상태와 매출 실적이 나쁘지 않다”는 점을 꼽았다. 기준이 된 기간은 지난 2008년부터 2015년으로 해당 기간에 기아차는 매년 상당한 당기순이익을 거뒀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상황은 180도 다르다. 기아차의 2·4분기 당기순이익은 3,8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8% 급감했다.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보복 여파로 중국 합자법인인 동풍열달기아의 2·4분기 판매량이 47% 급감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최근 정부가 사드 추가 배치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중국 시장의 부진은 오히려 더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까지 기아차의 연간 판매량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0%에 육박한다. 중국 시장과 판매량을 견주던 미국 시장 역시 산업수요 감소의 직격탄을 맞았다. 2·4분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7.69% 하락했다. 할인폭을 높이고 광고비를 늘렸음에도 불구하고 판매 감소를 막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4분기 내수 시장 판매 역시 13만3,302대로 1년 전보다 10.12% 빠졌다.


판매 부진은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 기아차의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3.0%다. 이는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 12곳 중 최하위로 지난해와 비교하면 3계단이나 미끄러진 것이다. 독일 BMW(11.2%)와 일본 도요타(7.0%)는 물론 미국GM(8.0%) 등과 비교하면 현격한 차이가 난다. 특히 올 상반기 엔화가 강세인 점을 고려하면 기아차의 수익성 하락은 지표보다 더 심각하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업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매년 설비투자와 연구개발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는 완성차 업계에서 영업이익률 5%는 성장을 위한 마지노선이지만 기아차의 올해 연간 영업이익률은 상반기보다 더 떨어질 것이 분명하다”면서 “이는 설비 및 연구개발 투자 여력을 줄이고 재차 수익성을 떨어뜨리는 악순환을 야기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현재의 위기를 타개할 뾰족한 묘수가 없다는 점에서 기아차의 경영 악화 우려는 더욱 커진다. 당장 중국과 미국 등 주요 시장과 내수의 동반 부진이 이어지고 있지만 판매량을 끌어올릴 만한 소재가 없다. 바닥 수준까지 내려온 수익성을 고려하면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서기가 힘들다. 더군다나 하반기에 출시되는 신차는 소형차인 프라이드 후속 모델이 유일하다.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