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데이터 왕복 지연시간 25ms→2ms 획기적 단축

SKT, 노키아와 LTE기술 첫 개발

5G 자율주행·AR 구현 속도낼 듯

SK텔레콤과 노키아 연구원들이 3일 SK텔레콤 분당기술원에서 LTE 저지연 통신 기술을 적용해 단말-기지국간 2ms 왕복 지연을 시연하고 있다. SK텔레콤은 노키아와 함께 세계 최초로 LTE 단말-기지국간 데이터 왕복 지연 시간을 25ms(millisecond; 1,000분의 1초)에서 2ms로 단축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5G 시대에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율주행, 무선 AR·VR 등 다양한 실시간 서비스 개발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과 노키아 연구원들이 3일 SK텔레콤 분당기술원에서 LTE 저지연 통신 기술을 적용해 단말-기지국간 2ms 왕복 지연을 시연하고 있다. SK텔레콤은 노키아와 함께 세계 최초로 LTE 단말-기지국간 데이터 왕복 지연 시간을 25ms(millisecond; 1,000분의 1초)에서 2ms로 단축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5G 시대에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율주행, 무선 AR·VR 등 다양한 실시간 서비스 개발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사진제공=SK텔레콤




LTE 단말기와 기지국간 데이터 왕복 지연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 5세대(5G) 활성화될 것으로 관측되는 자율주행이나 무선 증강현실(AR) 등 실시간 서비스 개발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SK텔레콤은 노키아와 손잡고 세계 최초로 LTE 단말-기지국 간 데이터 왕복 지연시간을 25ms(밀리세컨드·1,000분의 1초)에서 2ms로 단축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왕복 지연시간은 스마트폰 등 단말기에서 통신을 위해 보낸 데이터가 기지국과 서버를 거쳐 다시 단말기까지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기존 LTE 환경에서의 왕복 지연시간도 원격학습이나 스마트워크 등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는 데는 부족함이 없었지만, 자율주행처럼 실시간 대처가 안전에 큰 영향을 주는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에 개발된 저지연 LTE 통신기술을 이용하면 5G 시대에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율주행은 물론 무선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등 다양한 실시간 서비스의 개발이 가속화된다는 게 SK텔레콤 측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기존 LTE 환경에서는 시속 150km로 달리는 자동차에 정지하라는 신호를 보내면 약 1m 이동하고 나서야 감속이 가능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저지연 LTE 통신 기술을 이용하면 약 8cm 이동 후부터 감속을 시작해 안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해진다. 이 기술은 재난 로봇 개발이나 360VR 등 차세대 미디어 서비스 활성화에도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과 노키아는 저지연 LTE 통신을 위해 단말기가 발생한 데이터를 즉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업링크 사전 자원 할당’ 기술과 기지국-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간을 약 7분의 1로 줄이는 ‘TTI 단축’ 기술을 동시에 적용했다. 이들 기술은 5G에서는 통신 지연을 줄이기 위한 핵심 기술로 쓰일 전망이다. 양사는 TTI 단축 기술을 올해 말까지 국제표준화 단체인 3GPP에 글로벌 표준으로 반영하기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저지연 통신은 자율주행, AR·VR 등 미래 서비스 지원을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고객 품질 향상을 위해 최신 LTE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