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여 "北·美 특사 파견해 투트랙 대화 추진" 야 "5,000만 핵 인질..좌파 참모 버려야"

북핵 해법 엇갈리는 여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준표(왼쪽 두번째) 자유한국당 대표가 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홍준표(왼쪽 두번째) 자유한국당 대표가 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감행한 다음날인 4일 국회는 북핵 실험을 중대한 도발행위로 규정하고 강력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하지만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한 해법을 놓고 여야는 다른 목소리를 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북미·남북 간 ‘투트랙 대화’를 제안한 반면 야당은 정부가 대북 유화론의 몽상에서 벗어나 단호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북한과 미국에 동시 특사를 파견해 북미·남북 간 투트랙 대화를 추진할 것을 강력히 제안한다”고 밝혔다. 추 대표는 “어떤 경우에도 한반도의 전쟁을 반대하며 대화의 노력을 중단하거나 포기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우리 정부는 북미 간 대화를 가능한 범위 안에서 적극 촉구하고 중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추 대표는 “북한의 6차 핵실험을 강력히 규탄하며 정부 여당은 모든 군사적 수단을 강구해 북한의 무모한 도발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면서도 “전쟁을 막기 위해 끝까지 대화와 평화적 해법을 추구할 책무가 있다”며 대화의 끈을 놓지 않았다.


반면 야당은 일제히 정부의 대북 유화책을 비판하면서 더 강력한 군사적·외교적 대응을 촉구했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은 파탄에 이른 낭만적 대북 구걸 정책을 폐기하고 외교력과 군사력을 총동원해 단호한 의지와 행동을 보여줘야 한다”면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완수와 전술핵 재배치, 핵추진잠수함 도입 등을 요구했다. 홍준표 한국당 대표는 “새 정부 출범 4개월 만에 5,000만 국민이 핵 인질이 됐다”며 “좌파·아마추어 참모들을 버리고 전문가와 프로들로 참모를 구성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관련기사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역시 “문재인 정부는 현실을 직시하고 나약한 몽상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정부의 안보 무능을 꼬집었다. 안 대표는 “북한이 레드라인을 조롱하는 지금 우리의 대응은 단호해져야 한다”며 단호히 대북제재와 압박을 주도할 것을 주문했다. 또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참여하는 긴급 안보 영수회담도 재차 촉구했다.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는 대통령이 직접 북핵 위기 상황을 국민들에게 설명하고 협조를 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국회는 보이콧을 선언한 한국당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본회의를 열고 북한의 6차 핵실험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결의안에는 “정부가 기존의 대북 정책을 되돌아보고 국제사회와 긴밀하게 공조해 북한의 도발 의지를 뿌리 뽑을 수 있는 강력하고 실효적인 제재방안을 마련하고 시행할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